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글로벌 자전거 O2O, 국내서 달린다…‘공유경제의 희극’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중국·싱가포르 기업들 韓 진출 본격화
모바이크, 이달 말 수원 서비스

글로벌 자전거 O2O, 국내서 달린다…‘공유경제의 희극’될까 모바이크는 체인이 없는 자전거 제품을 자체 생산해 공유서비스를 한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벤처창업페스티벌에서 선보인 모바이크의 자전거 제품.
AD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글로벌 자전거 공유서비스 기업들이 잇따라 한국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이용자 2억명을 돌파한 중국의 자전거 O2O서비스 기업 모바이크는 이달 말 경기도 수원시에서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를 위해 회사 측은 국내 위치기반서비스(LBS) 사업자 신고 절차를 마무리했다. 앞서 또다른 공유자전거 기업인 싱가포르의 오바이크도 이달 12일 수원시에 자전거 1000대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중국계 오포 역시 내년 상반기 시장 진입을 위해 준비 중이란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해외 공유자전거 기업은 한국에 이미 존재하던 사업 모델보다 효율적 비즈니스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거치대나 대여소가 없는 무인대여 시스템이 공통적인 특징이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자전거 대여ㆍ반납 시스템을 갖췄다. 도시 곳곳 주차공간ㆍ자전거 보관대 등에서 자전거를 빌릴 수 있다.

모바이크 같은 경우 연간 1000만대 규모의 자전거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체인을 없앤 자전거 제품을 공유해 관리 비용을 낮췄다. 가격은 30분당 250~300원 수준으로 1시간당 1000원 수준인 따릉이보다도 저렴하다.

글로벌 자전거 O2O, 국내서 달린다…‘공유경제의 희극’될까 무인 대여 자전거 '오바이크'는 지난 12일부터 수원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수원시 등 지자체들도 예산이 많이 투입되는 공유자전거를 직접 서비스하지 않고 이들 기업과 협력을 시작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복수경쟁 체제가 되면서 가격인하 등 서비스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내년부터 운행 대수를 점진적으로 늘려 대기질 개선과 교통정체 해소 등 효과를 거두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의 예처럼 과잉공급으로 인한 폐해도 우려된다. 중국 자전거 공유 시장은 100여 개에 달하는 공유자전거 업체 가운데 60여개가 도산하거나 사업을 중단했고, 남아 있는 기업들도 마땅한 수익모델이 없어 파산 수순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용자들은 99~299위안(약 1만7000~5만원)까지 걸린 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기도 했다. 한국 시장은 중국보다 자전거 이용자 수가 적고 내수시장이 크지 않아 이 같은 위험이 더 크다.


이에 대해 제임스 카일 모바이크 글로벌사업부 이사는 "모바이크는 정부ㆍ지자체와 먼저 대화하고 협력해 공유자전거 시장을 글로벌화 했다"며 "한국 시장 역시 정부ㆍ지자체와 함께 고민해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존 자전거 제조사들은 '사용자 경험'을 늘린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이다. 삼천리자전거 관계자는 "자전거를 타고 즐기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구매 욕구도 늘어난다고 본다"며 "전기자전거 라인업 확대 등 사업모델을 보다 다양화해 변화된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려 한다"고 밝혔다.


김민철 알톤스포츠 홍보팀장 역시 "자전거 사용자 경험이 많아진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라며 "다만 자체 서비스 출시는 골목상권을 위협할 수 있어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