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빅데이터' 활용한 도시계획 수립 추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지역밀착형 도시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현재 행정동 단위로만 이뤄지고 있는 물리적 도시관리 체계가 아닌 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 시스템, 고령화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계획이다. 향후 지구단위계획 수립 과정에 반영할 예정으로 권역별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척도로도 활용된다.


서울시, '빅데이터' 활용한 도시계획 수립 추진 /
AD

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내년도 주택분야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지역밀착형 도시계획 수립'을 선정, 세부 계획안을 만들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계획분야에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는 행정동 단위의 기초정보만 있는 상황"이라며 "4차 산업혁명과 정보통신 기술 발달에 따른 새로운 공간정보가 도시계획 수립에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우선 서울시는 공간 빅데이터의 국내 구축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외 활용 사례를 검토할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생활밀착형 도시계획 선도 과제를 발굴하고 중장기 운영을 위한 관리 방안까지 수립하기로 했다.


데이터 구축에는 모바일 통신 유동인구, 교통수단 이용인구, 상가매출액, 기업거래(지역간 산업연관) 등 그동안 사용되지 않던 기준까지 대거 적용된다. 서울시는 기본적인 데이터가 구축되면 구역을 산업ㆍ경제로 나눠 특화 전략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공시설 등의 수요ㆍ입지선정 방법은 물론 ▲가로활성화 용도도입에 따른 효과 ▲도시계획 평가 및 모니터링 방법 ▲젠트리피케이션 전략 ▲스마트시티 구현 전략 등이 대표적이다.


중심지 세부 개발 계획도 연계한다. '2030 서울플랜' 발표 당시 지정한 3도심(한양도성, 강남, 영등포ㆍ여의도)과 7광역중심(용산, 청량리ㆍ왕십리, 창동ㆍ상계, 상암ㆍ수색, 마곡, 가산ㆍ대림, 잠실)이 대상으로 용도지역, 중심지 체계, 입지특성 등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진행됐지만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중심지 용도 및 적정비율 등에 대한 분석은 미비하다는 판단에서다. 예컨대 세부 계획이 수립되면 해당 중심지에서 민간 개발에 따른 비주거용도의 적정 비율 등이 산출돼 균형있는 도시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향후 지구단위계획이나 생활권계획 등 도시계획은 사람 중심의 지역밀착형 시스템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다양한 도시계획 수립 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해결책을 반영한 세밀한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