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7국감]"노후산단 환경개선사업에도 안전사고 이어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노후산단 환경개선사업에도 불구하고 산업단지 내 안전사고는 줄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송기헌 의원(더불어민주당·강원 원주을)이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159개 산업단지 중 산단공이 관리하는 61개 산업단지에서 2012~2017년(9월)까지 177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사상자는 319명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73명은 사망했다. 재산피해는 581억 원에 달했다.


사고발생 건수는 2014년 44건 이후 2015년 39건, 2016년 31건, 2017년(9월) 16건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2014년 7명에서 2015년 13명, 2016년 11명, 2017년(9월) 12명으로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재산피해 역시 2014년 9억 원에 불과했지만, 2016년 136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화재, 폭발, 안전 등 사고의 대형화로 재산피해와 사망자 발생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노후산단 혁신사업에도 불구하고 안전사고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산단공은 2014년부터 혁신산단을 선정해 산단환경 개선사업 등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노후산단 리모델링을 위해 2017년까지 11개 사업에 민자 포함 6800억 원의 환경개선펀드를 조성해 환경개선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혁신산단으로 선정된 산업단지의 안전사고 역시 개선되지 않고 있다. 송 의원은 "2014년 혁신산단으로 선정돼 환경개선사업 등 지원을 받은 반월, 시화, 구미, 주안 산업단지는 오히려 안전사고가 증가했다"며 "2015년 선정된 남동, 울산 산업단지 안전사고도 혁신산단으로 선정되지 못한 산업단지에 비해 높은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노후 산업단지, 특히 영세기업에 대한 안전사고 건수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대형화로 인해 인명피해는 늘어나고 있다"며 "노후 산업단지 혁신사업 추진에 있어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산단공의 컨트롤타워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