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7 국감]황영철 "비상상황시 서울시 식수공급, 11.6%"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서울시의 비상급수시설 음용수 확보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11.6% 수준에 그쳐 각종 재난상황 발생 시 식수공급 부족으로 큰 혼란이 발생할 우려가 큰 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황영철 바른정당 의원은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비상급수시설 현황’자료를 통해 시군구별 주민등록 인구통계와 비교 분석한 결과, 광역시·도의 음용수 및 생활용수 확보량이 소요량에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 많았다고 말했다.

비상급수시설은 민방위 사태 발생 내지 가뭄·지진 등 각종 재난발생으로 인한 상수도 공급중단 시 최소한의 음용수와 생활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다. 행정안전부가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2017년 8월 31일 기준으로 전국 음용수 확보율 103.8%, 생활용수 확보율 77%를 확보하고 있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음용수 확보율의 경우 ▲서울 11.6% ▲인천 40.7% ▲세종 72.7% ▲울산 78.4% ▲충남 80.2% 순으로 확보율이 낮았고, 생활용수 확보율은 ▲세종 9.6% ▲제주 11.6% ▲경북 22.3% ▲충북 50.7% ▲전남 55.5% ▲경남 65.8% ▲충남 66.6% ▲인천 68.5%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황 의원은 음용수 확보율이 저조한 서울시의 경우 운반급수가 가능한 216대의 소방차량을 전부 가용하면 740.4톤(음용수 9리터 기준 82,267명 분)을 공급 가능하나, 음용수 소요량의 0.83% 수준에 그쳐 그 효과가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연일 계속되는 북핵실험·미사일 도발로 안보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식수 공급조차 원활하지 못하다면 더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며 “신속한 재난대응체계를 구축을 위해 비상급수시설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조속히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