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가위 알쓸신잡]추석의 '차례', 원래는 차를 끓여 바치던 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한가위 알쓸신잡]추석의 '차례', 원래는 차를 끓여 바치던 날? (사진=두산백과)
AD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보통 '차례'라 하면 설과 추석에 하는 제사를 생각하기 쉽지만 원래는 '절사(節祀)'라고 해서 계절별 명절에 지내는 절기제사를 모두 차례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는 1960년대 만들어진 가정의례준칙으로 절기제사가 설과 추석으로 축소되면서 현재 의미로 굳어지게 됐다.

하지만 그 원 뜻을 고려하면 현재 우리가 행하는 조상에게 하는 차례가 아니었다. 원래 차례란 '차(茶)'를 올리는 예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례(茶禮)라고도 많이 불렸으며 유교에서 나온 의식이 아니라 불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삼국시대부터 차례는 설, 단오, 추석, 중구 등 이른바 계절별로 치뤄지는 사시제(四時祭) 때 각 절에 모신 부처와 보살들에게 차를 바치던 예식이었다. 고려시대 팔관회 연회, 사찰에서 주로 행하던 것으로 차와 함께 약간의 과일과 떡을 올리는 수준이었다.

그래서 지금도 영남과 호남 지방에서는 차사(茶祀)라고 한다. 오늘날엔 다례(茶禮)와 차례의 의미가 분화됐다. 다례는 문자 그대로 다(茶)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로 정착돼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 됐으며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俗節祭)를 가리키는 용어가 됐다.


현재의 추석 차례는 현대에 이르러서 완성됐다. 현재 차례 기본 예식은 꽤 번다하게 됐다. 송편을 기본으로 과일 ·포 ·탕 ·식혜 ·어적 ·산적 ·나물 ·전 ·편 ·국 ·메 등을 마련하고 제사는 먼저 제물의 진설이 끝나면 절을 하고 헌작한 뒤 메를 올린다. 올린 메에 수저로 십자(十)자로 자국을 낸 다음 45도 각도로 꽂고 모두 재배한다.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다음 숭늉에 밥을 세숟가락을 만다. 메에 뚜껑을 덮은 후 다시 재배하는 순으로 돼있다.


그러나 조선 전기까지는 유교 예법서에 차례라는 용어조차 없었다. 고려시대 대표적인 유학자인 김부식의 '삼국사기(三國史記)'는 물론 '고려사(高麗史)' 같은 역사서와 '주자가례(朱子家禮)', '가례집람(家禮輯覽)', '사례편람(四禮便覽)' 같은 유교의 대표적인 예법서에도 차례란 단어 자체가 없다. 또한 유교에서도 제사는 각 집안의 기제사를 훨씬 중요시여겼고 민간에서 전해져오는 이런 차례와 같은 사시제는 보통 속절이라 낮춰부르며 그렇게 큰 행사로 여기지 않아 간소하게 치렀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매월 초하루, 보름, 전통 명절에도 사당에 차례를 지내는 '행차례(行茶禮)'라는 예식이 등장하면서 오늘날 차례의 원형이 등장한다. 이때도 새벽 사당에 단지 국수와 떡 등을 간소하게 차리고 술 한잔 올리는게 전부였다. 차례상 비용 같은게 따로 나올 정도로 상다리가 부러지게 차리던 것이 아니었던 셈이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