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 잃어버린 20년 징후 나타나"…日 유통기업 생존법은?

시계아이콘01분 3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인구고령화·소비위축·디플레이션·1인가구 증가
"일본 장기침체 다양한 경제현상 한국서 나타나"
'기초'에 충실한 일본 기업들 장기불황서 생존

"韓 잃어버린 20년 징후 나타나"…日 유통기업 생존법은?
AD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일본 경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자신감 상실에 따른 심리적 위축현상이 뚜렸해졌다. 불황에 따른 저성장이 계속되면서 각 경제주체는 경제성장에 대한 믿음을 상실했고, 실제 성장율도 하락하는 '이력효과(어떤 물체가 외부 힘에 의해 영향을 받은 후 본래 상태로 쉽게 돌아가지 못하는 현상)'가 나타났다.

18일 양지혜 메르츠종금증권 애널리스트는 "아직 한국은 일본과 같은 자산가격 하락에 따른 대차대조표 불황이 현실화되고 있지는 않지만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초래했던 다양한 경제 현상들이 상당 부분 한국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양 애널리스트가 이날 펴낸 보고서를 보면 한국과 일본의 가장 비슷한 점은 '인구 고령화'다. 특히 한국의 출산율 하락세는 주요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화 속도는 일본보다 가파르다. 지난해 한국의 생산가능인구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일본의 경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990년 12.1%에서 지난해 23%로 20년간 연평균 0.5%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한국은 아직 고령인구 비중은 2013년 12.2%로 일본의 1990년 수준이다. 하지만 이같은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될 경우 2033년 고령인구 비중은 26.7%로 일본보다 높을 전망이다.

가계의 소비가 위축되는 점도 비슷하다. 일본 가계의 평균 소비성향은 1981년 79.2%였으나 1990년에는 75.3%로 떨어졌고 1998년에는 71.3%까지 하락했다. 경제성장률이 급락하고 불안심리가 확산된데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 평균 소비성향이 2010년 77.3%에서 2015년 72%까지 하락하였으며 2011년 이후 일본에 비해 소비성향이 떨어지는 속도가 더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다.


디플레이션도 마찬가지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012년 취임 직후부터 디플레이션 탈출을 역점 과제로 꼽았지만 현재까지 디플레이션이 반복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이 0.5%에서 올해 2% 수준으로 회복했지만, 가격변동성이 큰 신선식품 가격이 급등한데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다. 양 애널리스트는 "실질적인 수요 회복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잠재 경제성장률 하락과 함께 저물가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 밖에도 일본의 장기침체 당시 혼자사는 가구가 늘어나면서 편의점에서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하는 라이프 트랜드가 확산된 마찬가지로, 최근 우리나라도 출산 및 양육에 대한 부담으로 결혼을 포기하는 경향이 늘어난 점도 공통점이다.


일본 유통업계는 저성장의 탈출구를 '기본'에서 찾았다. 유통업게에선 중심상권이 가장 중요한 만큼 중심상권을 중심으로 영업을 확대했다. 일본에서 인구가 늘어나는 것은 도시권으로 수도인 도쿄 인근에 집중됐다. 유통업체 실적에서 핵심상권 점포에서 매출은 70% 이상이다. 양 애널리스트는 "위성도시는 본전 유지 정도이고, 외각 지역의 대형 쇼핑몰의 경우 화려해 보이지만 고전하고 있다"면서 "도심상권의 편리한 입지조건은 관광객들의 인바운드 수요에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일본의 장기 불황과 디플레이션 속에서도 가격할인보다 품질 향상에 방점을 찍은 유통기업들이 시장 입지를 강화했다. 일본의 백화점 업계는 아울렛 사업은 진출하지 않았다. 백화점은 고품질의 좋은 상품을 판매한다는 본질을 훼손시키지 않으려고 했고, 일본 선드럭 또한 PB상품 비중은 6~7% 정도에 불과하다. 평균 가격이 낮아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그 비중을 10% 이상 높이고 있지 않고있다. 여기에 일본에선 양적 성장을 위한 M&A보다는 산업 구조조정 관점에서 M&A 활성화됐다. 그 결과 우수한 현금 창출력과 풍부한 자금을 보유한 유통업체들 중심으로 산업 재편되고 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