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 대통령, 아베 총리와 통화 “대북인도 지원사업은 정치상황과 무관하게 다뤄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에 이은 미사일 발사 등 연이은 도발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 정상은 이날 오후 5시37분부터 6시11분까지 34분간 전화 통화를 하면서 국제사회가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를 채택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확고하고 단합된 의지와 입장을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이날 다시 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지난 8월 29일에 이어 이날 또 다시 일본 상공을 넘어 미사일을 발사하는 도발을 함으로써 일본 국민들이 느낄 위협과 우려에 공감을 표하면서 위로했다.


양 정상은 국제사회와 함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해 북한에 대해 최고 강도의 제재와 압박을 가함으로써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또 다음 주 개최되는 유엔 총회에서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단호하고 실효적인 조치를 함께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대해 확고하게 대응해 나갈 필요성에 완전하게 공감한다”며 “다만, 북한의 위협에 과도하게 대응함으로써 긴장이 격화돼 자칫 우발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일 양국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도록 협력하자”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우리 모두 한반도에서 전쟁으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면서 “앞으로도 긴밀히 공조하면서 북한의 정책을 바꾸고 한·일 양국민의 안전도 지키는데 협력해 나가자”고 답했다.


아베 총리가 한국정부의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 지원 사업 시기에 대해 묻자 문 대통령은 "이 문제는 유엔식량계획(WFP)과 유엔아동기구(UNICEF)가 북한의 영유아와 임산부에 대한 사업 지원을 요청해와 검토하게 된 것"이라며 "원칙적으로 영유아와 임산부를 지원하는 것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다루어야 할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 사안은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현재의 제반 상황 등을 종합 감안해 시기 등 관련사항을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의 제반 상황'은 "현재의 남북관계와 북한이 핵 및 미사일 도발을 계속하고 있는 등 제반 상황"이라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언젠가 그런 인도적 지원을 하게 돼도 현금이 아니라, 반드시 현물이어야 하고, 그것이 영유아나 임산부 등 필요한 사람들에게 틀림없이 전달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제대로 될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통화에서 양 정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대응을 위한 한·일 양국의 공조를 평가하고, 유엔 총회 계기 등을 활용해 각급 수준에서의 긴밀한 소통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통화는 양 정상이 지난 7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 참석을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가진 후 8일 만에 이뤄진 것이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아베 총리와 일곱 번째 통화이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