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외교부, 하반기 재외공관장 70명 물갈이(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외교부가 역대 최대 규모인 70명 내외의 재외공관장을 교체하는 등 대대적인 혁신을 예고했다. 또 현 정부 임기 내 재외공관장의 30%를 외부인사로 교체할 방침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오후 기자들과 만나 '외교부 혁신 제1차 이행방안'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하고, 올 하반기 진행될 인사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70명 내외(전체 공관의 43%) 공관장을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일반적인 공관장 정기 인사는 25∼30명 규모였다. 이 당국자는 "큰 규모로 인적쇄신을 단행한다는 취지"라며 "(기존과 같이) 정년이나 공관장 임기가 끝났거나 하는 외에도 다른 (교체) 요소들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또 현 정부 임기내 외부인사의 재외공관장 보임 비율을 최대 3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 당국자는 "공관장 등 개방 확대를 위해 현정부 임기 내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외부 인사의 공관장 보임 비율을 30%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올해 말까지인사 영입 및 검증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산하기관 임원 직위에 내부 승진 또는 관련 분야 전문성 등을 갖춘 외부인사 영입 추진을 통해 기관별 역량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외교부 전체 163개 공관의 30%면 약 50명 규모로, 현재는 외부이사가 공관장을 맡고 있는 비율이 전체의 10%가 조금 넘는다. 과거 비중이 클 때도 20% 초반 수준이었다는 것이 외교부 당국자의 전언이다.


외교부는 이와 함께 외무고시 발탁인사 확대 차원에서 입부 경로(외시 여부)나 연공서열(기수)과는 무관하게 해당 분야에서 능력과 전문성을 인정받은 비(非)외시 출신 인재 발탁 인사를 올해 하반기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외교부의 이 같은 방안은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온 조직내 순혈주의·폐쇄주의 극복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향후 외부 인사 선발 과정에서의 공정성 확보나 효과적인 검증 방안 마련 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특히 올해 하반기 인사부터는 특정 부서 직원의 인사부서 간부 보임 및 인사부서 간부의 특정 부서·공관 발령 관행도 없애기로 했다. '특정 부서'는 인기 부서로 알려진 주로 북미, 북핵 관련 부서를 의미한다.


공관장 자격심사 기준도 강화하고, 이를 엄격 적용해 부적격자의 공관장 보임을 원천 차단한다.


공관장 임기 중이라도 금품수수, 성비위, 갑질행위 등 중대 흠결이 발견되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조기 소환하고, 향후 공관장 재임 기회를 박탈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폭넓게 실시할 방침이다. 지난 7월 도입한 성비위에 대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금품수수나 갑질행위 등으로 확대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외교부는 '외교부 혁신TF'의 최종 방안을 오는 9월 말 발표할 예정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최종방안에 포함될 내용 중 인사분야 혁신 방안의 우선 시행을 강경화 장관에 건의했고, 장관이 이를 수용해 인사분야 이행 방안을 우선 시행키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