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마포구, 음식쓰레기 배출방식 문전수거 전 동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시행전후 비교하니 쓰레기 발생량 감소 등으로 4622만원 예산 절감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마포구(구청장 박홍섭)는 깨끗한 마포를 만들기 위해 음식쓰레기 배출방식인 거점수거제에서 문전수거제로 전동으로 확대·시행한다.


기존 거점 수거제는 공용 수거통을 설치해 음식을 수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버리기 위해 멀리 공용 수거통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로 인해 곳곳에 악취와 무단투기가 성행하였고, 이웃 간의 분쟁과 오해도 빈번히 발생했다.

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14년 상암동을 시범지역으로 운영했다. 그 후 2016년 유동인구가 많은 홍대 특화구역(서교동, 합정동, 서강동 일부 포함)를 선정, 올 상반기에는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서교동, 연남동, 성산1동 6개동을 확대 실시했다.


구 전체 배출수거 방식의 일원화와 글로벌 관광도시 기반 조성을 위해 9월부터는 용강동, 대흥동 등 미시행 9개동으로 확대 실시한다.

구는 수거방식에 따른 효과와 비용 절감 등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문전수거방식에서 올 상반기에 거점수거방식으로 전환한 공덕동, 도화동, 서교동 세 곳을 비교분석했다.

마포구, 음식쓰레기 배출방식 문전수거 전 동 확대 문전수거용 음식물 수거통
AD


지난해와 올해 6월부터 2개월간 수거방식에 따라 운반비 증감여부, 음식쓰레기 발생량 증감변화, 종량제 봉투 판매량 등을 비교해 본 결과 수집, 운반비용은 1726만원이 증가했으나 음식쓰레기 발생량은 290톤이 감소했다.


반면 종량제봉투 판매금액 증가로 6348만원 수익이 발생해 수집운반비용을 제외하면 4622만원 비용이 절감됐음을 알 수 있다.


비용 절감의 효과 외에도 깨끗한 거리환경과 내집 앞 배출로 인해 원거리 왕래의 불편함을 해소했다.


또 배출자 실명제 성격도 갖고 있어 무단투기 감소효과도 거뒀다. 특히 홍대의 경우에는 국내외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지역으로 청결하고 깨끗한 마포 이미지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됐다.


구는 문전수거제 확대에 따라 내집 수거통을 차질 없이 배부하기 위해 9월11일부터 순차적으로 배부한다. 수거통은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받을 수 있으며 신분증만 지참하면 된다. 문전수거제와 관련된 기타 사항은 마포구 청소행정과(☎3153-9202)로 문의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박홍섭 마포구청장은 “마포구 전역을 문전수거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깨끗하고 청결한 마포가 될 수 있도록 지역주민들의 많은 참여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