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 대통령 “북핵 해결위해 대화 피하지 않지만 지금은 대화할 때 아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5일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떤 차원의 대화도 피하지 않을 것이지만 지금 상황은 북한의 위험천만한 도발에 대해 강력하게 규탄하고 압박해야 할 때이지 대화를 말할 때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 및 일간 '로시스카야 가제타'와 가진 공동 서면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한 뒤 "답답하고 어려운 상황이지만 우리 정부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실현을 위한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6~7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기에 앞서 현지 언론과 인터뷰를 가졌다.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추가 도발을 중단하며 대화의 길로 나오도록 강제하기 위해 대북 제재ㆍ압박을 최고의 강도로 부과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도발 응징을 위해 압도적인 국방력을 갖추도록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미사일 지침을 개정해 탄두 중량 제한을 완전히 해제하기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합의했다"고 말했다.

또 "궁극적으로는 북한이 도발을 계속하고 이런 도발이 있을 때마다 강력히 규탄하고 압박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벗어나 북핵 문제를 근원적ㆍ포괄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에 대해서는 “북한과 상당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남ㆍ북ㆍ러 3각 협력은 한ㆍ러 관계 증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언젠가 남ㆍ북ㆍ러 3각 협력이 북한의 올바른 선택을 유도하는 중심적 역할을 하면서, 한반도와 극동, 동북아의 평화ㆍ번영은 물론 유라시아 대륙으로 나아가는 협력과 번영의기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ㆍ러 양국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유라시아 공동번영이라는 목표 하에 역내 안정과 통합을 위해 함께 협력해나간다는 비전을 공유하고 있다"며 "당장은 어렵더라도 한ㆍ러가 먼저 시작하고 향후 북한도 참여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핵ㆍ미사일 도발과 관련해서는 "북한은 우리의 대화 제안에 호응하지 않은 채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도발에 이어 6차 핵실험까지 감행했다"며 "한국 정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이 핵과 미사일 계획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비가역적인방법으로 포기하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선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추가 도발을 중단하며 대화의 길로 나오도록 강제하기 위해 대북 제재ㆍ압박을 최고의 강도로 부과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도발 응징을 위해 압도적인 국방력을 갖추도록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미사일 지침을 개정해 탄두 중량 제한을 완전히 해제하기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합의했다"고 말했다.


또 "궁극적으로는 북한이 도발을 계속하고 이런 도발이 있을 때마다 강력히 규탄하고 압박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벗어나 북핵 문제를 근원적·포괄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