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능 개편안, 반대 여론에 떠밀려…결국 1년 유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사회적 합의 없이 밀어붙인 교육부
절대평가 4과목 vs 전과목 2가지안 폐기
원점부터 다시 논의해 내년 8월 확정


수능 개편안, 반대 여론에 떠밀려…결국 1년 유예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확정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 (사진: 문호남 기자)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교육부의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논의가 전면 백지화됐다. 수능 4개목 절대평가 안과 7개 전과목 절대평가안 두 가지 모두를 폐기하고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 내년 8월까지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


교육부가 충분한 여론 수렴을 거치지 않은 채 양자택일식 시안을 발표하고 불과 20여일만에 서둘러 결정하려다 결국 '유예'라를 고육책을 선택한 탓에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내년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새로운 교육과정을 배우면서도 대입은 기존 수능 체제를 따라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하고 총 4차례의 권역별 공청회를 열어 학부모와 교육계의 여론을 수렴했지만 절대평가 범위 등 수능 개편방향에 대한 교육주체간 이견이 크고 사회적 합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따라 큰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수능 개편안 자체보다는 고교교육 정상화 등 문재인 정부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종합적인 교육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학생부종합전형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입전형 개편방향을 함께 발표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김 부총리는 "국민적 우려와 지적을 무겁게 받아들여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결정하고, 교육부가 중심이 돼 충분한 소통과 공론화, 연구 및 국가교육회의 자문 등을 거쳐 새 정부의 교육철학을 담은 종합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며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혼란을 드린 점에 사과드린다. 수험생들이 대입을 준비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만반의 대비를 하겠다"고도 덧붙였다.


수능 개편이 일년간 늦춰지면서 2021학년도 수능은 현행(2018학년도)과 동일한 체제로 유지된다. 하지만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과정은 일정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따르게 된다. 새로운 교육과정에 포함된 통합사회·통합과학 등 교과목을 수능에 반영할지 여부는 내년 2월께 다시 발표할 예정이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