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사드 제재 여파에 7월 항공여객 감소…정부, 추가 지원 나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정부가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공 분야에 대한 추가 지원에 나섰다. 노선 다변화 지원 및 여행사 인센티브 확대 방안 등을 마련했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항공 여객은 936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5% 줄었다. 국내 여객은 0.3% 증가한 반면 국제 여객이 2.2% 감소한 탓이다. 항공 화물은 3.8% 늘었다.

국제선 여객은 지난 3월 중국의 방한 단체여행 제한 조치 이후 중국 노선이 줄었음에도 노선 다변화와 우리 정부의 긴급 지원대책 등으로 6월까지는 지난해 대비 성장세를 유지다가 지난달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는 중국 노선 여객 감소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홍콩·대만 독감 영향으로 대체노선 여객 증가세가 둔화된 탓이다.


공항별로 노선 다변화가 이뤄진 대구·김해·인천공항은 7월에도 여객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중국 노선 비중이 높은 청주·제주·무안·양양공항은 사드 관련 제재 이후 국제 여객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면세점 매출도 줄고 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국토부는 항공사 및 여행사·면세점별로 피해 상황과 업계 요구사항을 감안해 추가 지원 대책을 한국공항공사 및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시행할 계획이다. 먼저 지방공항의 노선 다변화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이용률이 낮았던 청주공항의 착륙료 등 공항시설 사용료를 50% 감면해 항공사 취항을 유도하기로 했다. 중국 운수권 의무사용기간은 올해에 한해 전면 면제한다. 태국·대만 등 항공사가 취항·증편을 원하는 국가와 항공회담을 통해 운수권 확대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방공항에 취항 가능성이 높은 외항사를 유치하기 위해 지자체와 공항공사가 해외 마케팅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올 하반기 제주-쿠알라룸푸르 및 청주-하노이 정기편과 양양-하노이 전세편 등이 개설될 예정이다. 중국 등 탑승률이 낮은 노선에 대해서는 항공사의 여객 판매촉진(프로모션) 비용을 지원한다.


여행사의 관광객 유치를 돕기 위해 올 상반기 실적이 부진한 청주·무안·양양공항에 외국인 여객을 3인 이상 모집한 여행사에 대해 1인당 1만원을 지급한다. 지난 4월 긴급대책으로 지방공항에 외국 관광객 전세편을 유치한 여행사에 편당 250만원 지원금을 지급하던 데서 한발 더 나아가 국내 관광객이 해외로 나가는 아웃바운드 전세편을 유치하는 경우에도 지원금을 주기로 했다.


면세점 등 상업시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주·청주·무안·양양공항의 면세점·상업시설 임대료를 30% 인하한다. 임대료 납부시기도 여객 실적이 정상화될 때까지 유예한다. 앞으로 매출 실적 및 여객 증감률에 연동되는 임대료 산정 체계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 인천공항의 경우 면세점 판촉 지원 예산을 20억원에서 39억원으로 늘려 사은행사 등을 확대할 방침이다. 지방공항도 면세점 경품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행사 등을 실시한다.


구본환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이번 대책은 중국 노선 감소세가 지속되고, 특히 중국 비중이 높은 지방공항의 국제 여객 및 면세점·상업시설 매출 감소가 이어지고 있는 데 따른 맞춤형 대책”이라며 “항공 수요 회복과 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해 4월 대책에 이어 이번 추가 대책을 즉시 시행하고 업계의 애로사항을 수시로 들어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