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마트-삼성전자, '미래형 마트' 위한 파트너십 체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이마트-삼성전자, '미래형 마트' 위한 파트너십 체결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이마트와 삼성전자가 미래형 대형마트를 만드는 데 협업하기로 했다.


이마트는 28일 오후 삼성전자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래형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이마트는 삼성전자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하드웨어 시스템인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를 공급받는다. 아울러 유통과 정보기술(IT)이 결합된 쇼핑 패턴 분석 기술을 공동 개발해 보다 정교화된 미래형 유통을 선보일 예정이다.


우선 이마트는 경기도 용인 죽전점을 디지털 사이니지 시범점포로 삼는다. 오는 10월 죽전점 내부의 광고판 중 80%가량을 디지털 사이니지로 교체한다. 죽전점 시범사업을 거친 후 내년 총 200억원가량을 투자해 디지털 사이니지 점포를 30개점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기존에 사람이 손으로 직접 천장에 매달아 설치했던 매장 내 행사 안내물, 현수막, 계산대 윗 공간 광고판 등이 이제는 중앙 제어가 가능한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로 바뀌게 된다.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바뀐 광고판에는 이마트 행사상품 안내, 실시간 쇼핑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광고 콘텐츠도 노출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란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옥내외 광고다.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형식이기 때문에 광고 교체 주기를 언제든 조절한다. 사진 형태뿐 아니라 영상과 소리까지 내보낸다.


이마트 광고판이 디지털화하면서 향후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소비자 밀착형 광고가 이뤄질 수 있게 됐다. 기존 광고 형식은 몇 명이 이 광고를 얼마나 관심 있어 하는지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디지털 광고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들이 찾는 상품을 적시에 알 수 있어 '타게팅 광고'가 가능하다.


'쇼핑의 과학화'도 이뤄진다. 이마트가 오는 10월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하고 있는 쇼핑 패턴 분석 기술을 도입하기 때문이다. 히트맵(Heat Map)으로 불리는 이 고객 동선 분석 기술을 통해 누가 어떤 물건을 어디에서 구입하는지, 어느 매대에서 얼마나 오래 머무는지, 어느 경로로 움직이는지 등을 분석한다. 이마트는 이 정보를 향후 매장 진열 기법과 상품 배치, 재고 관리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현재 개발 중인 고객 안면인식 프로파일링 기술을 통해 고객의 성별, 연령대에 따라 가장 적절한 광고를 찾아내 노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선보일 계획이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