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중은행 일임형 ISA, '無수익-無수수료'…"수익률 제고가 우선" 지적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시중은행이 일임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서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경우 수수료를 받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증권사에 비해 수익률이 턱없이 낮은 만큼 은행들의 운용 역량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7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오는 10월부터 손실이 발생한 일임형 ISA 상품에 대해 수수료를 받지 않는 방안을 실시하기 위해 관련 상품 약관을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승인을 거쳐 신규 가입자뿐 아니라 기존 고객에도 소급 적용할 방침이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 다른 대형은행도 이와 같은 '무수익 무수수료' 방침을 도입하기 위해 검토에 나섰다.


ISA는 한 계좌에 주식, 펀드, 예금 등 여러 금융 상품을 넣어 운용할 수 있는 '만능 통장'이라며 지난해 3월 도입된 상품이다. 투자자가 상품을 직접 선택하는 '신탁형'과 금융사가 제시한 모델포트폴리오(MP)에 따라 운용되는 '일임형'으로 나뉜다. 일임형 ISA는 금융사가 대신 운용하는 만큼 연 수수료가 신탁형에 비해 다소 비싸다.


그러나 도입 1년을 훌쩍 넘긴 일임형 ISA는 업권별 운용능력이 확연히 갈렸다. 금투협이 지난달말 일임형 ISA MP를 운용하고 있는 25개사(증권 15개사·은행 10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평균 누적수익률에 따르면 상위 10위권을 증권사가 싹쓸이했다. 은행은 단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때문에 은행들이 뒤늦게 '무수익 무수수료' 방침을 들고 나선 데 대해 일각에서는 비판도 제기된다. 한 금융권 관자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내 놓고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고 홍보할 것이 아니라, 은행들의 ISA 운용능력을 키워 수익률을 높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일침을 놨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