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 국립시설로 건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이하 임정기념관)이 국립으로 들어선다.


13일 서울시와 정부에 따르면 국가보훈처는 지난달 임정기념관을 서울 서대문구 옛 서대문구의회 터에 건립하는 계획을 세우고, 기획재정부와 관련 예산을 논의하고 있다. 그동안 사업은 서울시가 주도해왔다. 지난해부터 국가보훈처·임정기념관건립추진위 등과 협의를 이어왔으나, 시설의 성격을 둘러싼 마찰로 진행이 지지부진했다. 서울시는 기념관이 대한민국의 역사적 정통성을 제고하는 만큼 국립시설로 건립·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정부는 민간이 추진하고 '시유지' 서대문구의회 터에 짓자고 맞섰다. 현행 법규상 국유지에 기념관을 지으면 국립시설이 되고, 시유지에 지으면 시립시설이 된다.


진척이 더뎠던 사업은 지난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뒤 전환점을 맞았다. 피우진 신임 국가보훈처장이 부임하면서 사업을 바라보는 정부의 시각이 달라졌다. 지난 6월 박원순 서울시장, 임정기념관건립추진위 등과 사안을 논의한 끝에 국가사업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서울시는 서대문구의회 터 5695㎡를 시가가 비슷한 중랑물재생센터와 동작구 수도자재관리센터 등 1만2045㎡와 바꾸는 작업을 연내 기획재정부와 진행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서대문구의회 터는 국유지가 돼 임정기념관은 국립 시설의 지위를 가진다.


임정기념관은 우리 헌법이 그 법통을 계승한다고 선언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기념하는 시설이다. 지하 1층·지상 4층 총 면적 5000㎡∼6000㎡ 규모로, 국가 기념식을 거행할 수 있는 홀을 비롯해 전시실, 세미나실, 자료실 등이 마련된다. 도서관, 아카이브(기록보관실), 박물관의 성격을 모두 갖춘 '라키비움(Library+Achive+Museum)'의 조성도 검토되고 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