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8·2 부동산 대책 후폭풍, 한국형 '갭투자' 사라지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단기 시세차익 노린 투자, 깡통전세 우려 커져…정부 투기 엄단 방침, 갭투자 위축 불가피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 직장인 김모씨는 '갭(gap)투자'를 통해 쏠쏠한 재미를 봤다. 부동산 투자는 생소한 분야였다. 하지만 적은 돈으로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주변의 권유에 귀가 솔깃했다. 여유자금을 은행에 맡겨봐야 1%대 금리에 불과했다. 그는 밑져야 본전이라는 심정으로 일을 저질렀다. 매매가 2억원의 아파트를 사면서 자신의 돈은 2000만원만 투자했다. 전셋값 1억8000만원을 끼고 샀기 때문이다. 김씨는 2년 후 3억원을 받고 아파트를 팔았다. 2000만원을 투자해 1억원의 수익을 올린 셈이다.


8·2 부동산 대책 후폭풍, 한국형 '갭투자' 사라지나
AD

최근 2~3년간 갭투자는 저금리 시대의 유망한 투자처로 인식됐다. 여윳돈이 있는 직장인이나 고령층은 물론이고 김씨처럼 부동산 투자에 문외한 이들까지 유행처럼 갭투자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정부가 8·2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갭투자에 나선 이들이 비상에 걸렸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청와대 페이스북에 공개된 인터뷰 영상을 통해 "정부가 내년 4월까지 시간을 드렸고 자기가 사는 게 아닌 집은 파시는 게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김 장관은 갭투자를 지목하며 "집을 거주 공간으로 보는 게 아니라 투기수단으로 보는 신종 수법"이라고 비판했다. 정부가 지난 2일 '단기 투기수요 억제'를 부동산 대책 발표의 핵심 배경으로 지목한 것은 갭투자를 차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갭투자 열풍, 감춰진 위험 부담= 갭투자는 주로 집값과 전셋값 차이가 적은 주택을 매입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집값이 크게 오르면 일정 기간 뒤 팔아서 시세차익을 남기는 방법이다. 전세 제도가 있는 한국에서만 가능한 투자 방법이다.


이론적으로는 1억원만 투자해도 여러 채의 자기 집을 가질 수 있다. 부동산 바람을 제대로 타면 짧은 기간에 투자금액 회수는 물론이고 몇 배의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도 있다. 대학생들이 대출을 받고 갭투자에 뛰어들 정도로 광풍으로 이어진 까닭이다.


갭투자는 집값이 오른다는 전제로 이뤄지는 투자다. 집값이 오르지 않거나 매매가 위축될 경우 위험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문제는 위험부담이 갭투자자는 물론이고 세입자에게도 미친다는 점이다. 세입자의 전셋값을 감당하지 못하게 될 경우 '깡통전세'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8·2 부동산 대책, 갭투자 위축= 저금리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갭투자를 근본적으로 막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있다. 정부 부동산 대책의 사각지대를 찾아서 투자를 이어갈 것이란 시각이다.


하지만 국토부 관계자는 "기대수익률을 대폭 낮춰 갭투자를 어렵게 하겠다"면서 자신감을 보였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8·2 부동산 대책 발표에 따라 갭투자가 위축될 것이란 시각을 보였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8·2 부동산 대책은 2년 이상 거주요건 추가, 다주택자에 대한 중과세, 주택거래 신고제 등 3중 장치를 마련했다"면서 "갭투자가 아예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상당 부분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채미옥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갭투자는 투기 심리를 부추기면서 시장 불안정을 유도하고 전세가의 이상 폭등을 유도하는 부작용이 있었다"면서 "부동산 대책에 따라 갭투자를 통한 단기차익을 누리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