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람이 미래다] 포스트휴먼, 인간과 사물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시계아이콘02분 3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인간과 사물이 대화하는 초연결사회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대화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의 자리 위협
포스트휴먼의 자리는 누구에게

[사람이 미래다] 포스트휴먼, 인간과 사물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인간은 계속 지구상에 지배적 위치를 가지며 살아남을 것인가. 사물과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4차 산업혁명은 인간과 사물이 대화하는 초연결사회 구현을 예고하고 있다. 인간과 인간 간의 소통을 넘어서 점차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대화가 이뤄진다. 소통의 확대는 인간의 신체적, 사회적, 국가적 한계를 뛰어 넘은 포스트 휴먼으로 진화를 예견한다. 하지만 사물이 인간의 역할 대체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간과 사물 중 누가 '포스트 휴먼'이 될지 마저 알 수 없다. '포스트 휴먼'을 둘러싼 인간과 사물간의 경주에 막이 올랐다.

[사람이 미래다] 포스트휴먼, 인간과 사물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는 인간이 더이상 사물의 지배적 위치에 놓여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전의 주도권을 빼앗긴 인간은 앞으로 어떤 것을 더 양보할 것인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인간과 기기들 간의 연결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의사결정의 주도권을 인간이 만든 사물에게 양보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커넥티드 카에서 자율주행차로 넘어가는 스마트카(Smart Car)의 발전사가 대표적인 예다. 커넥티드 카는 교통 인프라와 자동차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돼 서로 교신하며 안전하고 편안한 길을 안내한다. 자동차가 일종의 스마트폰처럼 하나의 단말기로 활용되는 형태다. 자율 주행차는 길 안내와 함께 주행까지 IT기술이 담당하는 버전이다. 인간이 내비게이션에 의존하면서 주행하는 것이 현재 보통의 운전 스타일이지만, 앞으로는 운전자 역할까지 인공지능(AI)에 양보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운전자 시력의 중요성은 사라지고 센서 간의 통신이 주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사람이 미래다] 포스트휴먼, 인간과 사물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수많은 사물과의 소통이 시작되면 인간의 삶은 편해질 것인가 아니면 인간의 역할을 잃게 될 것인가.



차 뿐만이 아니다. 인간이 머무는 거의 모든 곳에 위치한 모든 기기가 소통 기능을 갖추고 게 된다. 이미 출퇴근 때 집안의 전자기기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기초적 형태의 사물인터넷(IoT)기기 사용자는 국내에서도 70만명을 넘어선 상태다. LG유플러스 홈IoT 가입자만으로 본 수치가 그렇다. 외국에서는 더 빠른 속도를 보인다.


아디다스는 AI, 로봇, 3D프린팅 등의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했으며 아마존의 물류창고는 물류 로봇 키바(KIVA)가 창고 정리와 물류운송을 담당하고 있다. 아마존은 AI 기술 중 딥러닝 기술에 센서를 결합한 무인 매장 아마존고를 개장하기도 했다.


IBM의 AI 왓슨(Watson)은 국내외 유수 병원에 도입돼 환자의 진단과 치료방법에 관해 의사와 경쟁적 협력 관계를 갖고 있다. 지난해 이세돌 9단을 꺾은 알파고는 올해 세계 랭킹 1위 중국 커제 9단과의 대결에서 기존 기보를 모두 답습한 뒤 자기 학습을 통해 향상된 기력을 통해 전승을 거두기도 했다.


[사람이 미래다] 포스트휴먼, 인간과 사물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인공지능의 대명사 알파고는 세계 바둑 랭킹 1위 중국 커제 1단을 꺾고 바둑계를 은퇴했다. 혜성같이 등장해 신선같이 떠났다. 알파고는 인공지능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인간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기도 했다.



인간이 소통 가능한 사물의 등장으로 '포스트 휴먼'의 주체가 될 것인가, 아니면 소통 가능한 사물이 인간을 대체하는 '포스트 휴먼'이 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점차 활발해져 가는 길목에 서있는 것이다. 많은 부분에서 후자 쪽이 답에 가깝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5년 후인 2022년까지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스마트 기계가 의료, 법률, 정보기술(IT) 분야의 고학력 전문직 업무를 대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30년이면 로봇트럭이 미국에서 200만명의 트럭운전사를 대신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뉴욕 월가에서는 주식 거래나 사무 업무에 AI나 로봇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13개 국가 2개 지역협의기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s, 2016.1)' 보고서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따라 2020년 71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00만개의 일자리가 생성된다고 밝혔다. 순 감소 일자리가 510만개라는 얘기다.


지니 로메티 IBM 최고경영자(CEO)는 올 초 다보스포럼에서 "앞으로 대학 졸업장은 필요 없다"며 "AI와 데이터사이언스 등을 공부하고 실무능력을 쌓은 '뉴컬러' 인재들이 기업의 경쟁력이고 미래를 주도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사람이 미래다] 포스트휴먼, 인간과 사물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4차 산업혁명 대응에 한창이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 자체가 아직 정립이 된 개념은 아니다. 하지만 생산성 샹항을 위해 제조업 전반에 걸쳐 ICT와 접목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여파는 각기 다르게 전망된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 2016)은 한국을 2025년까지 첨단 산업용 로봇에 의해 총 노동 비용의 감소율(33%)이 가장 큰 국가로 전망했다. OECD(2016)는 한국이 자동화로 인해 사람의 역할이 변하는 직업 비율(18.56%)과 소멸되는 직업 비율(5.9%)이 분석대상 22개국 중 가장 낮을 것으로 관측했다.


이같은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문재인 정부는 미래부를 해체하는 대신, 존치하고 오히려 과학기술본부를 차관급으로 격상했다. 중소기업벤처부를 신설해 '창업국가'로의 도약을 설계할 방침이다. 4차 산업혁명위원회도 신설해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길 예정이다.


기업 역시 4차 산업혁명 대응에 한창이다. 이동통신사들은 인간과 사물의 소통에 있어 근간이 되는 5G(5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에 한창이다. 5G는 초연결사회 구현을 위한 기반 인프라로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특징으로 한다. 5G는 2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28GHz의 초고대역 통신망으로, 자율주행차를 비롯한 사물인터넷 시대에 막대한 데이터량을 수용할 네트워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 네이버 등 IT기업들은 이미 AI를 갖추고 있으며 자체적인 자율 주행차 개발에 한창이다. SK C&C, 삼성SDS 등 SI업체들은 물론, 금융업체들도 4차 산업혁명 기술에 혈안이 돼 있다.


[사람이 미래다] 포스트휴먼, 인간과 사물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사진출처=옥스퍼드대학 사이드 경영대학원(http://www.sbs.ox.ac.uk/faculty-research/entrepreneurship-centre/events/fintech-framing-landscape)



4차 산업혁명에서 리더의 위치를 선점하려 앞다퉈 나서고 있지만 업계는 비교적 여유를 보인다. 최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 결과로는 기술 진보에 따른 일자리 변화 시점을 2022년 정도로 예측한다는 점에서다. WEF가 예측한 2020년보다는 적어도 2년 정도 후의 시점이다. 그럼에도 일자리 대체율 전망치는 심각하다. 대학 전문가 그룹에서는 40.3%, 정책 전문가 그룹에서는 39.7%라고 내다봤다. 기업 전문가 그룹은 31.1%로 다른 그룹 대비 낮게 전망했다.


평가원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과 이로 인한 일자리 변화를 기계의 역할 확대를 통한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관점에 국한하지 않고 좋은 일자리 증가와 저성장 탈피 기회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