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평행선 그린 靑과 野, '김현미 청문회'에서 충돌(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정준영 기자]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국토교통부 장관의 역할을 '코드인사'가 (제대로) 수행할 자질이 있는지 우려스럽다."(자유한국당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의원들)


문재인 대통령의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임명 강행으로 불거진 청와대와 야당의 갈등이 15일 폭발했다. 이날 오전 국회 국토교통위에서 개의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선 장관직 수행을 위한 자질이 도마에 올랐다. 문 대통령의 당대표 시절 비서실장이던 김 후보자가 야당의 표적이 된 것이다.

독기가 오른 한국당은 김 후보자에게 제기된 의혹들을 물고 늘어졌다. 자질 문제 외에 부적절한 후원금 논란과 논문표절, 배우자 부당 공제 의혹 등이다.


또 김 후보자가 '전문성 결여' '논문 표절' '부동산투기' '농지법위반' 등 4대 의혹을 지녔다고 규정했다. 특히 석사논문이 남의 글을 그대로 베껴 표절했고, 이를 의도적으로 숨기기 위해 석사졸업을 은폐한 정황이 드러났다며 학위 취소를 주장했다. 이어 2012년 구입한 경기 연천군의 농지가 투기 목적으로 활용됐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청문회에 앞서 성명을 내고 "문 대통령은 인사 참사를 초래한 데 대해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당 현역 의원인 김 후보자는 '프리미엄'을 거의 적용받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비교적 안정된 분위기에서 치러진 전날 김부겸ㆍ김영춘ㆍ도종환 후보자의 청문회와 달리 날선 질의가 이어졌다. 김 후보자는 이들에 이어 의원 출신 후보자로는 마지막으로 청문회에 등판했다. 2000년 고위공직자 인사청문 도입 이후 25명의 현역 의원 출신 후보자 중 낙마한 사례는 아직 없다.


김 후보자는 모두 발언에서 "국토부 장관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서민 주거안정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면서 "여성도 국토부 장관을 잘 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해야 하는 과제가 저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현아 한국당 의원의 '(정부가) 지역 특성을 살려내지 못한 획일적 사업방식으로 도시재생을 하고 있다'는 질의에는 "자발적 참여를 통해 공공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며 맞섰다.


또 '김동연 경제부총리 취임 이후 부동산 투기의 적발 사례가 없다. 단속을 예고하고 한다'는 질문에는 "단속은 부동산 정책의 방향성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자신의 연세대학교 특수대학원 석사논문의 표절 의혹과 관련해선 "제 논문이 많이 부족하고 내세우기는 어렵지만, 표절했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제가 공부를 업(業)으로 하는 사람도 아니고, (해당 논문은) 학술적인 논문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날도 한국당 의원들은 대치 중인 청문 정국을 상징하듯 '보은ㆍ코드 인사' '협치 파괴' 등의 문구가 담긴 종이를 노트북에 붙인 채 굳은 표정으로 청문회에 임했다. 김 후보자는 이들과 눈을 마주치지 않은 채 전방을 응시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정준영 기자 labri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