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대한민국 첫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오는 18일 자정을 기준으로 가동을 멈춘다. 이를 시작으로 새정부의 정책기조인 '탈원전' 로드맵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기간 '원전제로' 국가를 선언하고, 탈핵 에너지 전환 로드맵 수립을 공약한 바 있다.
국내 첫 원전인 고리 1호기는 1978년 4월 29일 본격적인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원전이 영구적으로 문을 닫는 것은 이번이 국내 최초다.
이어 2012년 설계수명을 다한 월성1호기가 두번째 영구정지 수순을 밟을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월성1호기를 포함해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은 총 12기다.
현재 건설중인 원전에 대한 중단 계획 등도 조만간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짓거나 계획 중인 원전은 신고리 4호기 등 공정률 90% 이상인 원전을 포함해 총 11기다. 착공전인 신한울 3ㆍ4호기 등은 백지화될 여지가 많다. 논란이 되고 있는 고리 5ㆍ6호기는 공정률 27.6%로 이미 1조5242억원이 투입돼 건설 중단을 둘러싼 진통이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기저발전 역할을 하는 석탄발전과 원전의 비중 축소가 현실적으로 가능한 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국내 발전 전력량 가운에 원전(30.7%)과 석탄화력발전(39.3%)이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한다. 새 정부는 취임 후 탈원전에 앞서 노후석탄화력발전소의 셧다운 등을 발표하며 '탈석탄' 정책을 본격화했었다.
고리 1호기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오는 18일 자정 고리 1호기의 가동을 멈추고 핵연료를 냉각한 뒤 안전성 검사를 거쳐 5년 뒤인 2022년부터 본격적인 해체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해체 비용은 최소 6000억원에서 1조원 상당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영구정지부터 해체까지의 작업은 모두 4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영구정지 직후 원자로 안에 들어있는 사용후핵연료는 저장조로 전량 옮겨져 보관된다. 이와 함께 해체종합설계, 방사능 오염 현황 조사 등 해체 전 특성평가, 주민공청회와 해체 승인 신청이 이뤄질 예정이다.
2022년 해체가 승인되면 비(非) 방사성 구역이 철거되고, 이어 방사성 계통과 건물, 기타 설비도 사라진다. 고리 1호기 부지 복원과 최종 부지 상태 조사, 해체 완료 보고 등을 거쳐 최종 폐로까지는 15~20년이 걸릴 것이라는 추산도 나온다.
한수원은 오는 19일에는 고리 1호기 영구정지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