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능절대평가? 고교학점제?… 머리 싸맨 학부모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1초

고교학점제, 수능·내신 절대평가 도입 등 교육 '大격변' 예고돼
혼란스러운 학부모들… "이사까지 가야 하나"
입시업체에선 "대 혼란 일어날 수도"
긍정적 전망도 나와… "'교육=입시' 도식 깰 수도 있다"

수능절대평가? 고교학점제?… 머리 싸맨 학부모들
AD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서울 마포중학교 3학년 자녀를 둔 김 모씨는 최근 교육 관련 뉴스를 볼 때마다 불안하다. 김 씨는 "다양한 교육 정책이 나오는데 현재 정책들과 크게 다르다"며 "딸아이를 외고에 진학시키려 했는데, 새 정부 공약 중에 외고 폐지가 들어있어 아니다 싶었는데, 또 내신 절대평가가 적용되면 성적 좋은 학생들이 몰려 있는 특목고나 강남권으로 가야한다는 얘기가 나와 지금은 이사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절대평가,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절대평가제), 고교학점제 등 문재인 정부의 교육정책에 따른 '교육격변'이 예고되면서 학부모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사교육업계에서는 2008년 이후 최대의 혼란이 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고 있다.


학부모들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은 수능 절대평가제다. 수능 절대평가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강조했던 대표 교육공약이다. 교육부도 현재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2021학년도 수능제도 개편 방향을 오는 7월에 발표할 계획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정책적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수능 절대평가제를 도입할 경우 정시 전형의 동점자가 폭증해 유래 없는 눈치싸움과 혼란이 가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종로학원하늘교육이 9등급 상대평가 방식인 지난해 수능 성적을 절대평가로 바꿔 분석한 결과 수능 전 과목 2등급을 받은 수험생이 10만2,851명(누적비율 19.7%)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실제 평균 2등급 이상을 받은 학생 3만3308명(누적비율 6.4%)의 3배 이상이다. 서울 소재 대학의 신입생 수는 수시와 정시를 통틀어 7만명 수준인 것을 감안할 때 이전보다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 있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평가이사는 "과거 2008년도 수능등급제보다도 더 큰 혼란이 올 수도 있다"며 "수능등급제는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상위권의 숫자는 고정됐지만 절대평가제의 경우 상위권 폭증이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 이사는 "난이도를 높여 상위권 숫자를 조절하는 방안도 있지만 이는 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기본 능력 유무만을 판단하겠다는 절대평가제의 도입 취지와 충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내신도 절대평가가 도입된다는 예상이 나와 학교 현장이 혼란을 겪고 있다. 문 정부가 내세웠던 '고교학점제' 도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내신 절대평가가 필수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전공과 선택과목으로 강의를 나누고 원하는 과목을 수강하며 졸업이수학점을 채우면 졸업하는 제도다. 현재 서울, 인천 등지의 일부 지역 고교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다. 개설 강좌 수, 학교 인프라 등 넘어야 할 어려움이 많지만 무엇보다 입시에 직결되는 내신 평가 방식에 대한 우려가 크다. 현행 상대평가제에서는 본인이 원하는 강좌 수강인원이 적을수록 좋은 등급을 받는 학생도 확연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절대평가를 도입하면 대학이 학생을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이 사라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때문에 대학에서 논술 등 별도의 시험제도를 마련하고, 결국 또 다른 사교육으로 이어질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반면 현 정부의 교육정책이 '교육=입시'라는 도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긍적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의견도 제기된다. 수능을 자격고사화 하고 고교학점제를 완성한다면 학생들이 경쟁에 매몰되지 않고 다양한 과목 중에 원하는 공부를 자발적으로 하게 되는 긍정적인 변화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서울 송파구의 한 사립고등학교 교장은 "일시적인 혼란은 있겠지만 이미 상당수 학교들이 고교학점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어 현장 준비가 미흡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학생들이 학교수업 시간에 엎드려 잘 바에야 차라리 원하는 과목, 원하는 수준에 맞춰 공부하고 일찌감치 진로에 대해서도 고민하는 편이 낫다. 학생들에게 학교가 오고 싶은 곳, 즐거운 곳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수능·내신 동시 절대평가 도입으로 우려되는 변별력 상실도 '타협'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병오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은 현 상대평가 체제를 유지하면서 1등급의 범위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절충안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학생 200명이 수강하는 대형 강의는 1등급 비율을 현재처럼 4%로 유지하는 한편, 소수 학생들이 수강하는 과목은 1등급 비율을 5~6%까지 늘리는 식이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