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검토
후보시절 공약에도 담아
전기사용 비중 높은 철강업계 '냉가슴'
$pos="C";$title="동국제강 인천 에코아크 전기로";$txt="▲동국제강이 인천 공장에 준공한 친환경 '에코아크 전기로'";$size="300,392,0";$no="2011032414081255113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여파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철강업계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일시 가동중단, 임기 내 폐쇄가 현실화되면 전기요금은 인상은 불가피하고 인상분은 형평성 논란이 매번 불거지던 산업용에 몰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은 문재인 대통령의 후보 시절 내건 공약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대기업이 사용하는 산업용 전기요금을 재편해 산업부분에서의 전력 과소비를 방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석탄발전 등 값싼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가 줄어들게 되면서 전기료 인상은 불가피하게 됐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2030년까지 지금보다 평균 25%가량 전기요금이 오르게 된다.
철강업계는 다른 업종 대비 전기 사용량이 많다. 2015년 기준 전력소비 상위 15개 업종 중 현대제철이 1위였고, 포스코는 3위, 동국제강은 13위를 차지했다. 현대제철은 2015년 한 해에만 1만2025GWh의 전기를 썼고 그 비용은 1조1605억원에 달했다. 이는 당시 영업익 1조4641억원을 상회한다.
전기사용 비중이 높은 철강업계는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가져올 파장에 노심초사하고 있다. 온실가스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와중에 산업용 전기요금까지 인상되면 채산성이 하락해 가격 경쟁력을 잃을 수 있어서다. 철강업계는 생산한 제품의 절반 가량은 해외로 수출하기 때문에 세계 철강사들과 경쟁해야 한다.
이에 더해 산업용 전기료 인상은 중소 철강사에게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국내 철강기업 대부분은 전기를 이용해 철을 녹이는 '전기로'로 철강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는 일반고로 대비 전력 사용 비중이 높지만 일반고로를 사용하는 국내 기업은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대형 철강사뿐 이다.
업계 관계자는 "산업용 전기의 경우 한전이 100원에 전력을 사와서 109원에 기업에 팔았다는 조사결과도 있는 만큼 특혜라고 보기 어렵다"며 "이 논란이 불거질수록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있는 미국에 유리한 해석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