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2대 대선 2032년 유권자 최대…60대 40% 차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우리나라 인구가 늘어나면서 2032년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 수가 정점을 찍을 전망이다. 고령화로 유권자 10명 중 4명이 60대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개헌 없이 앞으로 5년마다 대선이 치러질 경우 선거권을 지닌 만 19세 이상 인구는 2032년 제22대 대선 때 4천519만8천147명으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 9일 치러진 제19대 대선 때 유권자 4247만9710명보다 6.4%(271만8437명) 늘어난 규모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차기 대선인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 만 19세 이상인구는 4397만4799명, 2027년 4474만1003명에서 2032년까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전체 인구는 2031년 5295만8000명으로 정점을 찍고내리막길로 접어들며 대선 유권자도 감소한다.


제23대 대선 때인 2037년에는 만 19세 이상 인구가 4516만4171명으로, 5년 전보다 0.08%(3만3976명) 줄어들고 2042년 4471만8844명, 2047년 4390만3366명으로 감소한다.


2062년에는 만 19세 이상 인구가 3894만6046명으로 4000만명 미만으로 떨어진다.


유권자 구성도 고령화된다. 올해 대선에선 60세 이상이 전체 유권자의 24.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40대(20.6%), 50대(19.9%), 30대(17.6%), 19∼29세(17.5%) 순이었다.


그러나 유권자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2032년에는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 19세 이상 인구의 40.3%로 올해보다 15.9%포인트 확대되는 반면 다른 연령대 비중은 일제히 쪼그라든다.


60대 이상 다음으로는 50대가 17.9%로 그 뒤를 잇고 40대(15.2%), 30대(15.1%),19∼29세(11.5%) 순으로 나타나는 등 나이가 많을수록 비중이 커지는 '역피라미드' 구조가 나타난다.


60대 이상 인구 비중은 계속해서 늘어나 제25대 대선 때인 2047년에는 50%(50.3%)를 돌파하고 제28대 대선이 있는 해인 2062년에는 55.6%까지 확대된다.


반면 19∼29세 젊은 인구는 2062년 9.9%로 10%를 밑도는 수준까지 떨어진다.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 선거 연령을 만 19세에서 18세로 하향하게 되면, 유권자 정점은 2032년으로 변함없지만 유권자가 될 수 있는 만 18세 이상 인구는 4562만8960명까지 늘어나게 된다.


2037년 제23대 대선 때부터 만 18세 이상 인구는 내리막길을 걸어 2062년 제28대 대선 때 3925만1657명까지 떨어진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