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G전자 어닝서프라이즈]LG전자 1분기 9215억 영업익…"TV·가전 쌍끌이"(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7초

2009년 2분기 영업이익 1조2438억원 이후 최대 규모
1분기 영업이익중 최대…시장 추정치보다 56.9% 상회
가전사업부 영업이익률 10% 초과할 듯
패널 가격 상승 불구 올레드 TV등 고가 제품 판매 효과


[LG전자 어닝서프라이즈]LG전자 1분기 9215억 영업익…"TV·가전 쌍끌이"(종합) LG트윈타워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LG전자가 7일 시장의 예상치를 모두 초과하는 깜짝 실적을 공개했다. LG전자는 7일 공시를 통해 지난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4조 6605억 원, 영업이익 9215억 원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9.7%, 영업이익은 82.4% 증가한 규모다.


분기 영업이익 9915억원은 LG전자 역대 두번째로 많은 규모다. 기존 LG전자 역대 최대 영업이익은 2009년 2분기 1조2438억원이다. 1분기 영업이익으로는 역대 최대다.

이날 LG전자가 공개한 실적은 시장의 예상치를 훨씬 초과하는 규모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LG전자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추정치)는 매출 14조4010억원과 영업이익 5873억원이었다. 증권사의 최대 전망치도 8000억원 초반대를 넘지 않았다. LG전자가 공개한 잠정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보다 무려 56.9% 많은 것이며 최대 추정치보다도 1000억원 이상 초과한 것이다.


◆"조성진 매직 통했다" …원가 상승 악재 불구 수익성 개선=LG전자가 지난 1분기 깜짝 실적을 달성한 것은 HE사업본부(TV), H&A사업본부(가전), MC사업본부(휴대폰), VC사업본부(전장) 등 거의 모든 사업부문과 제품들의 손익이 개선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HE사업본부와 H&A사업본부가 1분기 실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TV와 가전은 원재료 상승이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위주의 제품 정책과 원가 절감으로 영업이익을 크게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HE사업본부는 지난 1분기에 4조5000억원의 매출과 35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HE사업본부는 패널 가격 상승이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7%대의 높은 수익성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박원재 미래에셋 투자증권 연구원도 "HE사업본부는 패널 가격 상승에도 고가 제품이 확대되면서 3141억원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TV 출하량은 YoY로 4.5% 감소한 630만대가 예상되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초고화질(UHD) 비중 상승에 따른 제품 믹스 개선에 힘입어 전년과 유사한 4조4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H&A사업본부는 약 4조5000억원의 매출과 45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H&A사업본부는 원가구조 개선과 고가 제품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10% 안팎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노근창 연구원은 "H&A사업본부는 기존 프리미엄 생활 가전 이외에 사업의 본질을 관통하는 창의적인 제품인 트윈워시, 트롬 스타일러와 같은 차별화된 제품군이 확대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MC사업본부는 지난 1분기 400~5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폭을 크게 줄인 것으로 파악된다. MC사업본부는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4000억원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박원재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 8000억원 수준의 인력을 구조조정하고 유통 구조를 합리화하면서 비용 구조가 좋아진 상태"라며 "MC사업본부의 회복이 기대 이상"이라고 평가했다.


◆G6 출시 효과는 2분기부터…"올해 내내 좋다"=LG전자는 올해 본격적으로 올해 신제품 판매가 시작되는 2분기 더욱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G6는 2분기부터 북미 등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판매되면서 2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TV의 경우 올레드 TV와 나노셀 TV를 앞세운 듀얼 프리미엄 전략이 글로벌 시장에서 효과를 거두면서 수익 구조가 보다 탄탄해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생활가전은 LG 시그니처를 비롯해 트윈워시, 매직스페이스 등 프리미엄 제품의 글로벌 출시가 지속 확대되고 있어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야전사령관 스타일인 조성진 부회장의 가전 성공 DNA가 LG전자의 근본적인 체질을 개선시킨다면 수익성 호조세는 올해 내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올해 연간 실적은 매출 60조원, 영업이익 2.6조원으로 각각 전년비 8%, 96%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