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르포] G6 배터리 "못으로 뚫어도, 망치로 내리쳐도 폭발하지 않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6초

경기도 평택 LG전자 디지털파크 G6 개발·생산 공정 탐방

"배터리는 하나의 폭탄, 폭발하지 않는 배터리는 없다"
'LG배터리랩', 세계 유일의 배터리 안정성 통합 연구소
충격, 압력, 열 노출, 화재 파편 등 실험 통해 안정성 확보해야
이외에도 G6 제품 내구성 위해 연속낙하, 방수 시험


[르포] G6 배터리 "못으로 뚫어도, 망치로 내리쳐도 폭발하지 않아요" G6 배터리 관통 테스트(사진=LG전자)
AD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LG전자 전략 스마트폰 'LG G6'의 배터리 위로 9.1kg 추가 61cm 높이에서 '쾅' 하고 굉음을 내며 내리꽂힌다. 배터리가 종잇장이 될 만큼 강한 충격이었지만 불이 붙지도, 폭발하지도 않는다. 이번엔 날카로운 못이 허공에 매달린 배터리를 급속도로 뚫는다. 역시 아무런 위험도 나타나지 않는다.


24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의 LG디지털파크 내 '배터리 평가랩'을 찾았다. 세계 유일의 배터리 안전성 통합 연구소다. 스마트폰부터 전기차 등 각종 배터리의 설계부터 분석, 평가까지 가능하다.

총 책임자인 김성우 수석 연구원은 "에너지가 고밀도로 집약된 배터리는 하나의 '폭탄'과 마찬가지"라며 "다양한 평가를 통해 최대한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터리 평가랩은 충격, 압력, 열 노출, 화재 파편, 엑스레이 분석 등 무려 20개 항목을 시험한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 발화 사태 이후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고객의 요구는 더욱 높아진 상태다. 이에 LG전자는 G6 배터리를 더욱 혹독한 환경에서 시험했다. '열 노출' 항목의 경우 G6는 국제 기준 규격보다 15% 높은 고온에서 버텨야 했다.


김성우 연구원은 "수백, 수천 개 샘플 중 단 한 개의 불량도 허용되지 않는다"며 "기준 미달의 배터리가 발견될 경우 설계 단계로 되돌아가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르포] G6 배터리 "못으로 뚫어도, 망치로 내리쳐도 폭발하지 않아요" G6 연속 낙하 테스트(사진=LG전자)


여기서 끝이 아니다. 엄격한 과정을 통과한 G6 배터리는 디스플레이, 카메라와 함께 하나의 완성폰 형태로 '제품인정실'로 직행한다. 이곳에서는 G6 제품 전체의 내구성, 안전, 성능, 수명에 관한 다양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김균흥 LG전자 MC사업본부 신뢰성품질파트 부장은 "신제품이 출시되기 전 소비자들의 실사용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발견, 개선하기 위한 테스트가 진행된다"며 "이렇게 향상된 품질 수준은 제품의 완성도와 직결된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가장 자주 하는 실수가 바로 '떨어뜨림'이다. 이곳에서는 G6가 떨어뜨림에서 오는 충격을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검증하는 '연속 낙하 시험'이 이루어진다. G6는 약 1m 높이의 투명한 사각 통에 담겨 끊임없이 떨어지기를 반복한다.


G6는 특히 LG전자 스마트폰 최초로 방수가 되는 스마트폰이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별도의 검사 시스템을 도입했다. G6는 1.5m 수심에서 30분간 버티는 시험을 통해 최고 방수 등급인 IP68을 받았다.


[르포] G6 배터리 "못으로 뚫어도, 망치로 내리쳐도 폭발하지 않아요" G6 생산 라인(사진=LG전자)


G6는 이제서야 비로소 생산 공정이 가동되는 4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방진가운과 덧신을 착용하고 들어선 이곳에는 36m 길이의 총 14개 조립라인이 있다. 이날 G2동은 내달 G6의 북미 출시에 대비해 쉴 틈 없이 제품을 생산하는 중이었다. 한 라인 당 8시간 기준 약 3600대를 생산하는데 현재 주간에는 8개 라인, 야간에는 4개 라인이 가동되고 있다.


생산과정에서도 시험은 또다시 이루어진다. 마이크, 스피커 등 기본적 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MITS(Multi-Function Integrated Test System) 공정, 사진·동영상 등 사용자 관점의 검사가 필요한 '사용자 기능 테스트' 등이 실행된다.


LG전자 스마트폰은 이곳 평택 외에도 중국 옌타이·칭다오, 베트남 하이퐁, 브라질 따우바테 등 4개국 5개 지역에서 생산된다.


LG전자 MC글로벌오퍼레이션 그룹장 이석종 전무는 "안전함과 튼튼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전 임직원이 설계부터 테스트, 생산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품질 최우선주의를 실천 중"이라고 말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