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기 83.3% "브랜드 인지도 낮아 영업활동 제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중기 83.3% "브랜드 인지도 낮아 영업활동 제약"
AD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브랜드 인지도 때문에 영업활동에 제약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를 알리는데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전문인력 부족을 꼽았다.

1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 브랜드 인식조사' 결과, 브랜드가 잘 알려지지 않아 영업활동에 제약이나 한계를 경험했다고 답한 기업이 83.3%에 달했다. 브랜드를 알리는데 있어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전문인력 부족'(33.7%), '경험부족으로 인한 브랜드 육성사업 자체의 어려움'(32.0%), '자금부족'(30.2%), '상표관련 법적분쟁'(2.4%) 등의 순이었다.


중기 83.3% "브랜드 인지도 낮아 영업활동 제약"

이번 조사는 지난달 중소기업 109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기업성장에 브랜드가 필요하다'고 답한 업체는 98.2%에 달했다. 이 중 브랜드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63.3%로 조사됐다.


브랜드가 기업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판로개척(국내·해외)’과 ‘기업인지도’가 각각 2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기 83.3% "브랜드 인지도 낮아 영업활동 제약"


브랜드가 널리 알려졌을 경우 제품가격의 인상효과에 대해서는 27.8%가 '6~10% 인상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25.0%는 '20% 인상'이 가능하다고 했다. 브랜드 인지도 제고로 인한 마케팅비용 절감효과에 대한 질문에는 28.7%가 '11~20%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브랜드의 수출 보조효과에 대해서는 수출기업의 98.5%, 비수출기업의 69.8%가 '해외바이어가 인지하는 브랜드가 있을 경우 수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 스위스의 십자마크처럼 대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는 공동브랜드가 있다면 참여하겠다는 기업이 80.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 83.3% "브랜드 인지도 낮아 영업활동 제약"


유영호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예상외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브랜드가 알려지지 않아 국내외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글로벌화로 기술격차가 줄어들고 품질수준이 비슷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차별화를 위해 정부는 브랜드 육성방안에 보다 많은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