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의 전경련]"모금창구 이제 그만…시대 맞춰 역할 바꿔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권력 가까이 할 때마다 존립 흔들
對 정부·국회 대응 구심점으로 남아야
"차기 회장 연연 말고 쇄신부터 해야"


[위기의 전경련]"모금창구 이제 그만…시대 맞춰 역할 바꿔야" 여의도 전경련 빌딩 전경.
AD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2년 전 경제단체 25곳이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안이 과도하다며 한 목소리를 낸 일이 있었다. 산업계는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8억5060만t)의 최대 30%까지 줄이라는 정부의 감축목표에 대해 우려를 전하면서 하향 조정을 요구했다. 여기에는 발전·에너지업종 38개사도 포함돼있었다.


산업계의 우려가 한 목소리로 전달된 창구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였다. 전경련은 업종별 의견을 모으고 산업계 입장에서 정책 실행의 어려운 점을 짚으면서 산업계를 대표해 정부에 입장을 전달했다. 전경련은 산업계 이슈가 있을 때마다 이렇듯 선봉에 서서 재계의 대변인 역할을 맡아왔다.

전경련은 1961년 7월 재계 총수들의 친목모임으로 시작됐지만, 여러차례 위기를 겪으며 역할을 바꿔왔다. 대한민국 각계를 대표하는 기업, 업종별 단체들을 회원사로 두면서 국내외 각종 경제문제를 조사·연구했고 재계의 의견을 모아 대(對) 정부·국회에 정책을 건의했다. 상대적으로 기업들은 거시적인 정책이나 법안에는 신경을 덜쓰고 업종 이슈에 집중할 수 있었다.


문제가 되는 역할도 분명 있다. 권력이 사적 이익을 챙길 수 있도록 일종의 모금 창구를 한 역할들이다. 전두환 정권 당시 일해재단 출연이나 '차떼기 불법대선자금' 지원에 나섰던 일들, 최근 청와대의 요구를 받아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을 주도하면서 회원사 모금에 앞장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회계의 한 축을 담당하는 사회공헌사업도 어버이연합 등 입맛에 맞는 보수단체를 지원하는 역할로 전락해버렸다. 전경련은 산업계 보단 권력과 가까이 할 때마다 존립에 위협을 받았다.


이는 전경련이 자초한 측면이 없지 않다. 재계에선 상근부회장 중심으로 회원사 위에 군림하는 기구로 클 때까지 견제 장치가 없었다고 말한다. 외부 감독·감사를 받지 않는데다 재계 총수로 구성된 회장단은 명맥만 이어오는 수준에서 방관해왔다. 제동이 없다보니 시대 변화를 못 읽고 정치권에 자금을 대주고 특혜를 받는 과거의 잘못된 관행도 떨치지 못했다.


재계에선 전경련이 해체보단 역할을 재정립해 '제2의 출범'을 해야한다고 말한다.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재계의 입장을 전달하는 창구로서의 역할은 여전히 살아있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미국의 '헤리티지재단'처럼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의 역할을 키워 순수 정책 연구기관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문제는 차기 회장 선출이다. 전경련은 차기 회장이 꾸려지는대로 혁신안을 만들어 탈바꿈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24일 정기총회를 앞두고도 차기 회장 선출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재계 관계자는 "시대에 맞춰 전경련의 역할을 재규정하고 조직이 변화되는 것이 전경련이 살아남을 수 있는 우선 과제"라며 "다만 차기 회장 선출에 묻혀 개혁시점도 뒤로 밀릴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