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 피살 소식에 외신들은 북한ㆍ중국 관계가 급속히 악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정부와 관영 매체들은 암살 소식이 전해진 지난 15일 이후 침묵하고 있지만 소셜미디어인 '웨이보'등에선 하루 5000만명 넘는 누리꾼들이 몰려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16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정남과 중국의 인연은 남달랐다. 김정남은 1990년대 중반부터 중국을 오가며 경제발전의 모습을 접한 뒤 개혁개방을 강조해온 '체제의 이단아'였다. 2009년 북한에서 김정은 후계 구도가 고착된 이후에는 베이징과 마카오에 머물며 중국 정부의 실질적인 도움을 받아왔다. 중국 정부의 조력으로 북한 공작원들의 암살 시도를 몇 차례 모면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 같은 배경에서 '친중파'인 김정남의 사망은 중국 정부가 김정은 위원장을 견제할 '마지막 수단'을 잃어버린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북한이 중국의 눈치를 덜 보게 될 것"이란 분석과 "중국 당국이 당분간 겉으로나마 차분함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실제로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국영 CCTV 등은 지금까지 김정남 암살과 관련해 단편적인 보도에 그쳤다. 중국 외교 당국도 "말레이시아 당국이 조사 중"이라는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다.
반면 외교가에선 벌써부터 "북한의 예측할 수 없는 행동에 중국 정부가 모욕감을 느꼈을 것"이란 얘기가 돌고 있다. 지난 12일 돌발적인 중장거리 탄도미사일(북극성 2형) 발사에 이어 이튿날인 13일 암살 사건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내부의 불안정한 정세를 드러낸 북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셈법도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암살이 북 측의 소행으로 드러나면 북ㆍ중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을 수 있다"며 "그동안 중국 정부가 (향후 북한의 급변 사태에 대비해 차기 지도자로) 김정남을 보호해왔다"고 보도했다. FT는 크리스 존슨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가를 인용, "북핵 대처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에 크게 의존했다"면서 "중국도 북한 정세 판단용으로 활용하던 김정남이 죽으면서 혼란을 겪고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도 일본 언론인 고미 요지의 발언을 인용해 "김정남은 중국이 통제할 수 있는 인물이었고, 이는 신변을 보호하고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이유"라고 강조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