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16일 발표된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개발에서 서울시가 가장 역점을 둔 부분은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다. 구도심 개발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을 막기 위한 방지책이다.
실제 서울시는 이번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선정 과정을 통해 향후 이해관계가 발생할 부분에 대한 사전 조율을 실시했다. 마장 축산물 시장에서는 이미 건물주의 50% 이상이 상생협약에 동의했고 용산전자상가도 상인연합회·시설주·시와 협의체를 구성해 임차상인의 권리를 보호하기로 했다.
선정 과정도 까다롭게 진행했다. 최종 선정된 17개소는 준비기간 동안 추진주체 스스로 재생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시민 아이디어 공모와 아이디어 캠프를 통해 이뤄졌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들의 역할이 중요한 주거지재생은 6개월간 19개 지역 주민모임 1500여명이 참여했다. 도시재생공감대형성을 위한 주민설명회와 마을축제, 공동체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주민제안공모사업 등을 시행하면서 주민중심의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같은 사전 준비단계를 거친 후 이후 도시·건축, 경제·금융, 역사·문화, 공동체·사회적경제 등 관련 분야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4단계(사전검토→서면평가→현장실사→제안서 발표) 꼼꼼한 심사를 거쳤다. 거버넌스 구축사업의 성과, 향후 5년 이내 실현 가능성, 각 유형별 특성의 적합성 여부 등도 고려됐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계획과 교수는 "서울시 차원의 도시계획적 위계, 지역 균형발전 등을 고려할 때 기능강화 및 지역특화가 필요한 지역으로 모두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됐다"며 "다만 일부지역은 지역의 범위, 사업내용, 총사업비 및 재정투입 시기 등을 조정한 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