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옥상옥 회의체 통합"…미래부 조직개편 물꼬 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안희정 충남지사 "국가연구개발심의위(가칭) 신설, 미래부는 세종으로 내려와야"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과학기술 연구개발 정책결정의 독립성과 자치역량을 높이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심의위(가칭)'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세종시로 빠른 시간 안에 이전해야 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창조경제' 주무부처인 미래부는 차기 정권에서 조직개편 '0순위'로 꼽히는 부처이다.


'옥상옥 회의체 통합"…미래부 조직개편 물꼬 텄다 ▲미래창조과학부
AD

대선주자로 꼽히는 안희정 충남지사는 1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이 주장했다. 과학기술 연구개발 정책의 큰 방향을 수립하는 기관들이 난립해 있어 문제라고 안 지사는 진단했다.

현재 우리나라 과학정책 수립기관은 '국가과학기술심의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과학기술전략회의' 등이 있다. 안 지사는 "이들 3개 회의체 기능이 중복돼 있다"며 "이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회의체를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안 지사는 "헌법기관인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가칭 '국가연구개발심의위'로 확대 개편하고 여기에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과학기술전략회의'를 하나로 묶는 방법이 있다"며 "이를 통해 과학기술 연구개발정책의 혼선을 막고 권위 있는 기관이 중장기 연구 개발 과제를 힘 있게 추진하도록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빠른 시간 안에 세종시로 이전돼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안 지사는 "미래부는 세종시 이전 대상 기관"이라며 "이전을 차일피일 미루며 아직까지 과천에 남아 있는데 과학기술의 요람인 대덕연구단지와 카이스트, 미래부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지사는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기술발전을 이끈 중심은 대덕 연구 단지"라며 "과학자들이 밤낮없이 연구에 매진한 결과인데 최근 성장 엔진이 식어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연간 20조 원에 가까운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하고도 미래 먹거리 산업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옥상옥 회의체 통합"…미래부 조직개편 물꼬 텄다 ▲안희정 지사.[사진=윤동주 기자]

안 지사는 "지금의 방법으로는 안 된다"고 지적한 뒤 "2-3년마다 내려오는 낙하산 인사가 과학기술 정책을 좌우하거나 보고서용 연구만 이뤄지는 풍토는 바꿔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안 지사의 제안에 대해 과학정책분야 한 전문가는 "그동안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이 한 곳으로 향하지 못하고 '옥상옥(屋上屋)' 등 회의체만 만드는 등 비효율적 구조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자문회의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전략회의, 국과심을 통합해 한 곳으로 집중하는 방향성은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부가 세종시로 내려오면 대전의 연구단지와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그동안 과천에 있는 미래부에 회의 참석 등으로 비용과 시간, 행정적 낭비 요인이 많았는데 미래부가 세종시로 내려오면 이 같은 문제는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래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에 대해 "대선 주자가 내놓은 안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말하기가 어렵다"며 "다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헌법에 명시돼 있는 만큼 조심스럽고 현재의 조직으로 상과가 조금씩 나오고 있는 만큼 지켜봐 줬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