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년 수산물 수출 3년 만에 21억弗 돌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지난해 수산물 수출액이 3년 만에 21억달러(2조5000억원)를 돌파했다.


4일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수산물 수출액이 전년 대비 약 10.6% 증가한 21억3000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수산물 수출액이 21억달러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3년 이후 3년 만이며, 역대 4번째 기록이다.


수산물 수출액은 2012년 23억6000만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꾸준히 감소해 왔다.

지난해도 4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하는 등 불안한 출발을 보였지만, 참치와 김, 오징어 등 수출이 늘면서 반등했다.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두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국가별로는 일본, 중국, 미국, 태국, 베트남, 홍콩, 프랑스, 이탈리아, 대만, 캐나다 등 10대 수출 대상국 수출액이 모두 증가했다.


최대 수출국인 일본 수출액은 17억37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으며, 중국과 태국으로 수출액도 전년 대비 20.5%, 28.5% 늘어난 3억7700만달러, 1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일본 엔화가 강세를 보이며 참치 등 수산물 소비가 늘었고, 김 수입할당물량 확대 등 호재로 김 수출이 53.1% 증가했다. 전복과 참치 수출액도 각각 24.9%, 9.5% 늘었다.


중국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전복, 삼치, 참치 등 관세 인하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이 대폭 증가했다. 태국은 스낵 김과 참치 통조림의 원료로 사용되는 김과 참치 수출액이 각각 44.7%, 23.6% 늘었다.


품목별로도 굴을 제외한 참치, 김, 오징어, 전복, 넙치, 붕장어, 게살, 삼치, 이빨고기 등 주요 수출 품목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특히 참치, 김, 오징어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수출 1위 품목인 참치는 일본, 유럽연합(EU)으로 횟감용 참치 수출과 태국, 베트남 등 원료용 참치 수출이 함께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수출액이 17.6% 신장했다.


김 역시 조미 김 수출에 힘입어 전년 대비 15.9% 증가했으며, 오징어는 어획량 감소로 가격이 오르며 수출액이 18.2% 늘었다.


최완현 해수부 수산정책관은 "올해는 보호무역주의 심화, 중국 비관세장벽 강화 등 수출 장애 요인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부가가치가 높은 활어와 신선냉장, 가공품 등 수출을 밀착 지원해 수출실적을 최대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