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탄핵 가결]창조경제 '꽃' 바이오산업, 피우지 못하고 스러지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3초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박근혜 정부의 슬로건인 창조경제의 핵심인 제약·바이오산업이 사상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은 최근 조선, 철강 등 국내 주력 제조산업이 위기를 겪으면서 미래 한국경제를 이끌 구세주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 왔다. 실제 관련 산업의 수출액은 올해 100억 달러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그러나 '국정 농단'의 주역 최순실과 박근혜 대통령의 불법 줄기세포 시술 의혹은 물론, 각종 특혜성 시비에 휘말리며 꽃을 피울 새도 없이 스러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보건복지부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제약ㆍ의료기기ㆍ화장품 등 보건산업 상품 수출액은 전년보다 19.1% 증가한 9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 내년도 보건산업 예상 수출액으로 114억 달러를 제시하면서 보건산업의 성장세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복지부는 전망했다.


부문별 수출액 증가율은 화장품 37.5%, 제약 15.2%, 의료기기 5.9%다. 관련 회사 매출액 총합은 전년보다 9.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1~3분기 보건산업 상품 수출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보건산업의 수출 증가율과 달리 같은 기간 국내 전 산업 수출은 8.5% 감소하고 제조업 상장기업 매출이 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씨가 '자가지방줄기세포 시술'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일본 차병원(일본 TCC)에서 면역세포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줄기세포 등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마저 특혜성이라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바이오 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특혜 논란은 이번 정부 들어 줄기세포 규제가 속속 완화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거졌다. 지난 7월 복지부는 차병원 계열 차의과대에 7년 만에 체세포 배아복제 줄기세포 연구를 승인했고, 식약처는 희귀질환과 암 등에만 적용해오던 의약품 조건부 허가 대상을 알츠하이머와 뇌경색 등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임상 3상까지 마쳐야 신약 허가를 받을 수 있는데, 2상 시험 자료만으로 허가를 내주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박근혜 대통령이 줄기세포 규제 완화를 일관되게 추진해온 이유가 일종의 대가성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가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와 팔팔정, 제2의 프로포폴로 불리는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 태반주사, 감초주사, 마늘주사 등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을 대량 구매 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제약업체도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청와대는 비아그라 등 발기부전 치료제는 해외 순방시 고산병을 예방하기 위해 구매했고, 나머지 의약품은 건강관리나 응급 의약품이라 해명했지만 의혹이 증폭돼 왔다.


국내 제약 및 바이오 업계는 불안감에 떨고 있다. 이제 막 성과를 내기 시작한 연구개발 환경이 발목을 잡힐 수 있다는 걱정에서다. 과거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 관련 연구가 전면 중단됐던 경험은 이런 불안감을 부채질한다. 전남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사업비인 창조경제혁신 펀드와 바이오화학 펀드에 지원할 20억원을 삭감한 상태다.


전 세계적으로 아직 걸음마 단계인 세포치료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적으로 환자들에게 사용이 허가된 줄기세포 치료제는 7개에 불과한데, 이 중 4개가 국내 기업이 만든 제품이다. 지난 2011년 7월 파미셀의 급성 심근경색 치료제 하티셀그램이 첫 승인을 받았고 카티스템(무릎 연골 결손 치료), 큐피스템(대장이나 소장 부위에 염증이 발생해 구멍이 생기는 크론성 누공 치료), 뉴로타나-알주(근위축성측삭경화증, 일명 루게릭병 치료) 등이 뒤를 이었다. 식약처에 따르면 1998년 이후 전 세계에서 진행된 줄기세포 치료제 임상 317건 중 46건이 한국에서 진행됐다. 146건을 기록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황우석 사태로 국내 줄기세포 업계가 그야말로 초토화됐기 때문에 이번에도 제2의 황우석 사태꼴이 나지 않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줄기세포 치료는 앞으로 심장ㆍ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큰 만큼 색안경을 끼고 보지 말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