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삼성전자가 9조원을 투자해 자동차 전자장비 업체 하만을 인수하면서 전 세계 커넥티드카 플랫폼 경쟁이 본격화됐다. 특히 커넥티드카 시장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커넥티드카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올해 약 50조원에서 2020년에는 155조원으로 3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커넥티드카는 자동차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IoT 시대의 핵심으로 꼽히는 신사업이다. 관제센터와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으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을 말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으로 시동을 걸거나 에어컨 등을 켤 수 있으며 날씨·뉴스 등의 생활 정보를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받아 볼 수 있다. 이를구현하기 위해서는 각종 전자부품과 통신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이 필요하다. 자동차 업체는 물론 IT 기업들이 선점에 나선 배경이다.
현재로서는 정보통신기술 업체인 구글, 애플 등의 기술 개발이 가장 앞선다. 스마트폰 운영체제(OS)를 확보한 두 회사는 자동차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전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 대부분이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와 애플 카플레이 진영에 합류했다. 스마트폰과 연동해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사용하는 게 현재 커넥티드카에선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구글과 애플은 이미 자율주행차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구글은 시험운행을 하고 있고 애플은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타이탄'에 이어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쪽으로 선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요타와 닛산, 혼다 등 일본 자동차 제작사들도 비슷한 상황이다. 미국이나 한국의 성장만을 바라볼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자동차와 관련 부품은 지난해 일본의 전체 수출에서 20%를 차지했다. 이에 도요타는 2020년까지 일본과 미국에서 생산하는 거의 모든 차량을 인터넷에 연결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도요타는 이를 통해 차량 공유 같은 분야로 확장할 수 있다. 도요타는 앞으로 몇 년간 자율주행차 연구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닛산의 자율주행 기술인 프로파일럿은 미국 TRW의 카메라와 이스라엘 모빌아이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닛산은 전통적인 부품업체에만 의존하지 않고 최고의 기술을 공급받겠다고 나섰다. 이밖에 최근 한국지사를 설립한 테슬라는 국내 시장 본격 진출에 앞서 LTE 탑재를 위해 KT와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커넥티드카는 자동차 업계 및 기타 연관 산업에 근본적인 기회와 혁신의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며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며 새로운 회사가 탄생시킬 뿐 아니라, 새로운 가치 제안 및 신규 사업 모델의 도입을 이끌고 스마트 모빌리티의 새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