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간지럼 태우면 왜 웃을까 참 궁금했는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간지럼 태우면 왜 웃을까 참 궁금했는데… 인간처럼 쥐도 배를 간지럽히면 웃음이 나온다. (이미지 = 훔볼트 대학 이시야마 심페이, 마이클 브레히트)
AD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겨드랑이나 옆구리를 간지럽히면 대부분 웃게 된다. "제발 그만 해"라고 거절 의사를 밝히면서도 터져 나오는 웃음을 감출 수가 없다. 그런데 왜 간지럼을 태우면 웃음이 나오는걸까?

최근 독일 훔볼트 대학의 신경과학자 이시야마 심페이 교수 연구팀이 간지럼과 웃음의 관계를 파헤친 논문을 과학 저술지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왜 간지럼을 태우면 웃는가?', '왜 등 부분은 간지럼에 강한가?', '본인 스스로 간지럼을 태우면 왜 간지럽지 않은가?' 등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팀은 사람 대신 쥐를 실험대상으로 삼았다. 이시야마 교수는 쥐가 매우 어릴 때부터 일주일에 1~2회씩 배와 등을 간지럽히며 '간지럼'이 기분 좋은 자극임을 인식시켰다.

그 결과 인간이 간지럽히면 큭큭 소리를 내며 웃는 것처럼 쥐도 간지럼을 태우면 초음파로 찍찍거리는 소리(USV)를 낸다는 것을 밝혀냈다. (참고로 쥐의 웃음소리는 50kHz의 초음파로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다)


연구팀이 쥐의 배 부분을 간지럽히니 쥐의 USV가 증가했고, 간지럼 태우기를 중단한 이후에도 간지럽히는 손을 따라다니거나 펄쩍펄쩍 뛰는 등 기분이 좋을 때의 행동을 보였다.


피부감각과 관련된 뇌 피질에 전극을 꽂고 신경이 흥분하는 정도를 살폈더니 USV와 같은 패턴으로 신경이 흥분했다. 간지럽히던 손을 뗀 후에도 흥분이 지속됐으며, 피부자극에 대한 신경 반응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신경 세포가 흥분하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USV와 신경 세포 흥분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체성 감각 피질(몸의 감각에 반응하는 뇌의 한 부분)에 서로 다른 깊이로 전극들을 삽입하고 펄스 자극을 주었다.


그 결과 L5a라는 층의 신경을 자극했을 때 USV를 100 % 유도 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쥐의 배를 간지럽히면 L5a 층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신경이 흥분되기 시작하고 웃음을 유도하게 된다는 의미다.


중요한 건 이같은 반응이 쥐의 기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불안하고 우울한 사람은 아무리 간지럼을 태워도 좀처럼 웃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쥐 역시 강한 빛에 노출시켜 불안케 했더니 간지럼을 태워도 소리를 내지 않고 신경 세포도 흥분하지 않았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