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촌철살인 혹은 아전인수…'트럼프쇼크' 내맘대로 활용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촌철살인 혹은 아전인수…'트럼프쇼크' 내맘대로 활용법
AD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미국발 정치혁명으로 불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 공화당 대선 후보의 대통령 당선이 국내 정치판을 뒤흔들고 있다. 기득권 정치 심판과 포퓰리즘으로 압축되는 '트럼프 쇼크'는 여야는 물론 예비 대선주자들에게도 충격과 고민을 떠안겼다. 하지만 잇따라 아전인수 격으로 입장을 내면서 혼돈은 더 커지고 있다.

 ◆온갖 해석 쏟아내는 여의도…국내 상황과 연계시켜 저마다 엇갈린 평가= 11일 여야 정치권은 극단주의자로 치부돼 온 트럼프가 대권을 거머쥐자 이를 최근 한국 사회가 맞닥뜨린 현실과 짝짓기에 바빴다.


 여당은 당정협의를 갖고 "큰 상황 변화는 없을 것"이란 논평을 내놨다. 내우외환을 우려하며 정국 안정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패권국가의 관용과 포용을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면서도 "의회주의에 기반한 미국에서 트럼프는 공화당의 가치를 수렴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반면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정부가) 다양한 변수를 놓고 외교를 했어야 하는데 상황을 쉽게 봤다"면서 "시급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한발 더 나아가 자주 외교론을 펼쳤다. "대미 외교 의존도나 미국의 간섭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라며 "대북정책을 우리가 주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선을 불과 13개월 앞둔 대선주자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잠룡들은 미 대선 결과가 정체된 기득권 세력에 대한 심판이었다는 데 대체로 동의했으나 각론에선 미묘한 차이를 드러냈다. 여권 주자들이 국정 공백과 대처방안을 언급하는 데 주력한 반면 야권 주자들은 촛불집회를 거론하며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후퇴를 촉구했다.


 ◆野, 대통령 퇴진·후퇴 촉구…대권주자들도 각자 목소리= 야권 대표주자 격인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는 촛불집회 정국과 미 대선 투표결과를 짝지었다. 그는 "우리 촛불집회에서 수십만 명의 시민이 표출하는 분노의 배경도 (트럼프 당선의 배경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규정했다. 이어 "양극화와 기득권층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투표를 통해 표출됐다"는 전문가들의 진단을 인용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국민의 신뢰를 완전히 상실한 박 대통령이 조속히 퇴진하는 길만이 국정과 외교 공백을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문 전 대표를 바짝 추격 중인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도 '새정치'에 대한 기대감을 미 대선 결과에 반영했다. 안 전 대표는 "기존질서에 대한 분노로 미 국민은 투표를 통해 강한 변화를 선택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민주당 소속으로 '강성'인 이 시장은 "스마트폰으로 무장하고 네트워크로 조직화된 대중이 불의한 세상을 바꾸겠다는 주체적 의지를 드러냈다"고 해석했다. 그는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면서 "미 국민은 심각한 불평등ㆍ불공정을 낳은 기득권 정치세력을 사실상 탄핵했다"고 말했다. 김부겸 민주당 의원도 "미국 경기 침체와 양극화 심화의 결과"라고 진단했다.


 ◆與, 정국안정에 방점…"내우외환 두고볼 수 없다"= 여권 대선주자들은 친박(친박근혜)ㆍ비박(비박근혜) 여부에 따라 입장이 엇갈렸다. 비박 주자들은 현 정권의 무능에 초점을 맞춘 반면 친박 주자들은 대처 방안에 방점을 찍었다. 비박인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는 "민심이 무섭다는 것을 느꼈다"고 털어놨다. 최근 '최순실 게이트'를 기점으로 여당 개혁을 부르짖는 김 전 대표는 대통령과 친박 지도부에게 실질적인 2선 후퇴를 요구 중이다.


 비주류로 중도성향인 유승민 의원도 "대한민국의 국가 리더십은 실종된 상태"라며 "안보와 경제가 매우 심각한 위기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또 남경필 경기지사는 "변화를 읽어야 한다. 미 국민이 새로운 리더십을 선택한 만큼 대한민국도 새로운 리더십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고, 원유철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는 "트럼프의 승리는 미국 우선주의, 신고립주의 전략의 승리"라며 "우리도 한국 우선주의를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