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장애인주차구역 위반 3년새 3배 폭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감 자료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국내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적발 건수가 지난 3년간 3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송파구병)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단속 건수가 2013년 약 5만3천 건에서 2015년 약 15만3000 건, 2016년 상반기까지 약 12만 건으로 급증했다.

이처럼 폭증한 것은 지난해 7월 개정된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 뿐만 아니라 주차 방해 행위도 단속 대상에 포함된 이후로 정부 및 각 지자체가 집중 지도단속을 했기 때문이다. 또 ‘생활불편스마트폰신고’ 앱을 통해 손쉽게 민원을 제기할 수 있어 신고가 폭증했다.


지역 별로는 경기도가 4만5,32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시 3만5,277건, 부산시 9,923건순이었다. 증가율을 보면 인천시가 2013년 2,174건에서 2015년 9,389건으로 3년 간 약 9.1배, 세종시는 2013년 156건에서 2015년 1,280건으로 8.2배가 늘어나 가장 높았다.

반면 위반 건수 증가에 비해 과태료 과태료 징수율은 줄었다. 서울시의 경우 2013년 한 해 징수율이 75.4%였으나 2015년 한 해 징수율이 65.9%로 줄었고, 경기도의 경우 73.3%p서 68.2%로 줄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불법주차 할 경우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주차방해 행위는 50만원, 장애인자동차표지 위·변조와 부당사용 행위는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남인순 의원은 “우리나라는 자가용차량 2천만대 시대가 도래하고, 전체 장애인의 약 52%가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유를 불문하고 연간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건수가 15만 건을 넘는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제도 정착을 위해 캠페인 등 홍보를 통한 국민적 인식 제고와 함께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시민의식 함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