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올림픽 적용해 산업 경쟁력 분석
韓, 전자·철강·조선 세 종목만 메달권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우리나라 기업은 글로벌시장에서 전자, 철강 등 특정 산업군만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만큼 향후 다양한 영역에서 여러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리우 올림픽에 맞춰 포춘이 발표한 500대 기업과 업종 분류를 기준으로 올림픽 출전종목과 메달산정 방식을 적용해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53개 종목(업종)에서 우리나라는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로 종합순위 8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가 전자업종에서 금메달을 차지했고, 포스코(철강)와 현대중공업(산업장비)이 은메달을 기록했다. 종합 1위는 미국으로 금메달 30개, 2위는 금메달 7개로 중국이 차지했다. 일본(금1, 은3, 동1)과 영국(금1, 은1)이 각각 7위, 9위로 우리나라 앞뒤에 위치했다.
업종 내 매출 3위까지인 메달권 국가들의 출전기업 대비 메달획득 비율을 살펴보면 미국, 독일, 네덜란드는 대표기업 절반이 메달을 받았고, 중국, 프랑스, 스위스 등은 약 3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대표기업 15개 중 3개만 메달을 획득했다.
우리가 진출한 9개 종목 중 메달권 밖 6개 업종 국가대표 기업들과 금메달 기업과의 규모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기준으로 작게는 2.9배에서 최고 18.7배까지 차이가 났으며, 평균적으로 7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리우 올림픽에 우리나라는 총 39개 종목 중 24개 종목에 204명의 국가대표 선수가 출전하고 있다. 전체 종목의 61.5% 수준이다. 반면, 포춘 글로벌 500에 포함된 우리나라 국가대표 기업의 출전 종목은 전체 53개 중 9개(17%)에 불과할 뿐 나머지 44개 업종에서는 국가대표 기업이 없다.
우리나라 기업이 포함된 분야는 전자, 자동차, 철강, 에너지, 정유, 전력, 기계, 생명보험, 유통 등 9개 업종이다. 미국의 경우 건설, 선박, 부동산, 무역 등 9개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 출전했고, 중국은 제조업 외 은행, 제약, 식품,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인구가 800만에 불과하지만 대표기업 수가 우리와 동일한 스위스는 11개 업종에 진출, 제조업 뿐만 아니라 식품, 의약, 인력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 우리보다 적은 출전규모(13개)임에도 식품, 무역, 은행, 전자, 화학 등 12개 업종에 고루 진출해 있다.
세계 10강에 포함된 국가 중 우리나라는 캐나다에 이어 가장 낮은 종목 참여율을 기록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의 국가대표 기업 육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우리나라 국가대표 기업은 15개로 출전 규모면에서 스위스와 함께 공동 7위이지만, 오랜 기간 정체 중에 있다. 우리나라가 2000년 12개에서 올해 15개로 15년 동안 3개 증가한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10개에서 103개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미국도 2010년 139개 이후 조금씩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올해는 헬스케어, 제약 등 미래 신산업 분야 기업들이 크게 성장함에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다. 일본은 대표기업 수가 중국 등과의 경쟁에 밀리면서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
올해 포춘 글로벌 500에 새롭게 포함된 32개 기업 중 미국과 중국 기업이 각각 13개, 9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두 나라 기업의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다. 중국은 우주항공, 기계, 전자부품 등 중국정부가 정책적으로 집중 육성하는 분야 내 기업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제조기업 외에도 온라인 물류를 담당하는 징동상청(JD.COM)이 새롭게 진입했고, 텐센트와 알리바바 등 당장 내년이라도 국가대표로 뽑힐 수 있는 기업들이 줄을 서 있다. 미국 역시 헬스케어, 제약, 도·소매 등 신성장 동력 역할을 할 서비스업 기업들의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글로벌 시장은 이미 국경의 개념이 사라진지 오래됐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은 여러 제약으로 인해 국내에서 성장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