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27개 생태하천 복원에 5820억 투입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경기도 27개 생태하천 복원에 5820억 투입한다 생태하천 복원사업 조감도
AD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생태하천 복원을 위해 27개 하천에 2019년까지 총 5820억원을 투입한다. 생태하천은 각종 개발행위로 물이 마르는 등 생태 균형을 잃은 도심하천을 훼손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올해 1463억원을 투입해 15개 시ㆍ군 25개 하천(125km)을 생태하천으로 바꾼다. 이들 25개 하천 중 7곳은 올해 공사가 마무리된다. 나머지 18곳은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에 완공된다.


도는 2019년까지 총 27개 하천의 생태복원작업을 마무리한다. 연도별 생태하천은 2016년 7곳, 2017년 16곳, 2018년 1곳, 2019년 3곳 등이다. 이 사업에 들어가는 총 비용은 5818억6500만원이다. 대부분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에는 국비 50%가 포함된다. 일부 사업은 최대 70%의 국비가 지원된다.

도 관계자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언제 시작됐느냐에 따라서 국비 지원규모가 달라진다"며 "사업이 오래전에 시작된 경우 최대 70%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위해 우선 물을 공급해 하천수량(水量)을 늘린다. 이어 동ㆍ식물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등 자연적 자정기능을 회복한 건강한 하천으로 되돌리는 작업에 나선다.


올해 생태하천으로 거듭나는 곳은 ▲부천 심곡천 ▲남양주 왕숙천 ▲화성 발안천 ▲양주 덕계천 ▲안성 청미천 ▲포천 포천천(2) ▲오산 오산천 등 7곳이다.


도는 생태하천 복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준공 후 5년간 생물종류와 개체 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과거 생태하천 모니터링 결과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완공된 남양주 묵현천 등 11개 하천의 평균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는 준공 전 6.9ppm(mg/ℓ)에서 3.5ppm으로 개선됐다. BOD 6ppm 이상은 어류가 살기 어려운 4급수다. 반면 BOD 3.5ppm은 잉어, 붕어, 미꾸라지 등이 서식할 수 있는 3급수다.


경기도 27개 생태하천 복원에 5820억 투입한다 용인 청미천 생태하천 복원


2012년 생태하천복원사업을 마친 용인시 경안천의 경우 멸종위기종인 수달과 흰목물떼새가, 2013년 사업을 완료한 안성시 금석천에서는 천연기념물인 원앙의 서식이 확인되기도 했다. 특히 금석천에서는 복원사업 전 붕어, 피라미, 미꾸라지 등 3종에 불과하던 물고기가 현재 한국 고유종인 얼룩동사리 등 7종으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생태하천복원사업을 통해 하천의 생태계 복원뿐 아니라 사업구간에 생태관찰ㆍ체험 시설 및 생태탐방로를 조성하는 등 하천을 도민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복원하기로 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