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 상반기 폐기한 손상화폐 1조5151억원…비용 220억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올 상반기 폐기한 손상화폐 1조5151억원…비용 220억원
AD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올해 상반기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화폐가 1조5000억원이 넘었다. 손상화폐를 새 지폐로 대체하는 데에는 220억원 가량이 소요됐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6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 따르면 금융기관 및 한국은행 화폐교환 창구에서 회수한 손상화폐는 1조5151억원으로 전기대비 1463억원(8.8%) 감소했다. 한은은 이를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219억원이라고 밝혔다.


폐기한 손상화폐 중 가장 많은 것은 1만원권으로 1조2349억원으로 전체의 81.3%(폐기액 기준)에 달했다. 이 외에 1000원권 995억원(6.6%), 5000원권 955억원(6.3%), 5만원권 844억원(5.6%) 순이었다.

주화는 100원화가 4억원으로 전체 주화 폐기액의 49.4%를 차지했다. 500원화는 3억원(37.0%), 50원화는 7000만원(8.4%), 10원화는 5000만원(5.2%)였다.


일반인들이 한국은행에서 교환한 손상화폐는 9억1600만원으로 전기(8억700만원)에 비해 1억800만원(13.4%) 증가했다.


은행권의 주요 손상사유는 불에 탄 경우가 652건(42.9%)으로 가장 많았다. 금액은 3억9300만원에 달한다. 습기 및 장판 밑 눌림 등에 의한 경우가 989건으로 3억4800만원 정도였다. 기름 등에 오렴되거나 칼질 등에 의해 조각난 경우도 각각 8200만원(72건)과 4600만원(438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교환을 의뢰한 손상은행권의 액면금액은 9억6600만원이지만 실제로 교환 받은 금액은 9억1600만원이었다. 교환의뢰 금액 중 반액 또는 무효 판정을 받아 액면대로 교환을 받지 못한 금액이 5100만원정도로 교환의뢰 금액의 5.2%였다.


한은은 앞뒷면을 모두 갖춘 은행권의 남은 면적이 원래 크기의 4분의 3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을, 4분의3 미만 5분의 2이상이면 액면금액의 반액을 교환해준다. 하지만 5분의 2미만이면 무효로 처리돼 교환받을 수 없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