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연료는 데이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이경전 경희대 교수, 제105회 무협 최고경영자 조찬회에서 강연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핵심은 스마트화와 커넥티드화라는 의견이 나왔다.


이경전 경희대학교 교수는 한국무역협회가 19일 삼성동 코엑스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개최한 '제105회 KITA 최고경영자 조찬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올해 다섯번째 KITA 최고경영자 조찬회의 연사로 나선 이 교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비즈니스모델 변화와 기업전략'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이 교수는 세상의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커넥티드 월드라는 새로운 환경이 도래했고 제품, 고객, 서비스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데이터가 기업의 핵심연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시스템 기술, 그리고 데이터 기반 서비스 설계 역량이 결국 기업의 핵심 경쟁 우위가 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팅, 나노기술 등으로 대표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일하는 방식이 바뀌어야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역설했다. 즉, 물리적 자원을 소유할 것인지, 생산할 것인지 또는 이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플랫폼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인지가 앞으로 기업 생존에 있어서 중요한 전략적 이슈가 된다는 것이다.


사물인터넷 벤처기업 대표이사이기도 한 이경전 교수는 '벤플(Benple)' 사업사례와 사물인터넷 기반 전자상거래 활용사례를 통해 온·오프라인 연계(O2O)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모델과 플랫폼 모델을 소개하며 제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있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했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