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영화값 차등제…사실상 '가격인상', 좌석당 430원꼴 올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소협, "CGV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실질적인 가격 인상"
영화관이 얻는 가격인상 효과, 점유 좌석당 '430원'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CJ CGV가 지난 3일부터 소비자 선택을 다양화하겠다는 것을 이유로 좌석별·시간대별로 관람료를 세분화한 것과 관련해, 사실상 '가격인상'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CGV는 좌석은 세 단계로 구분해 이코노미존은 기존 가격보다 1000원 낮게, 스탠다드존은 기존 가격과 동일하게, 프라임존은 1000원 높게 책정했다. 이러한 가격 차등제를 실시하는 이유로 CGV 측은 '소비자 선택을 다양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소비자들이 느끼는 것은 '다양화'보다는 '가격인상' 체감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이달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동안 서울 5개 CGV 영화관에서 오전 10시부터 밤 10시까지 상영하는 영화 2편을 대상으로 예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00원 더 저렴해진 이코노미존보다 가격이 1000원 오른 프라임존의 예약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값 차등제…사실상 '가격인상', 좌석당 430원꼴 올라 CGV 상영관 좌석별 예약률 현황(표=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AD

영화 '귀향'과 '주토피아'의 경우, 두 영화의 이코노미존 예약률은 주중 0.6∼1.1%, 주말 5.3~19.5%로, 이코노미존 전체 좌석수 1만9376개 중 예약된 좌석은 870개에 불과했다.


반면 프라임존은 3만4825개 좌석 중 1만535명의 관객이 좌석을 예약했으며 비율로 따지면 주중 15.1∼22.0%, 주말 45.5∼60.3%의 예약률을 보였다.


결국 다수의 소비자들은 극장 측에서 주장하는 '소비자 혜택'보다는 '가격인상' 효과를 더욱 체감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CGV가 세분화한 좌석을 살펴보면, 이코노미존은 관람하기 불편한 앞좌석 2∼3줄로 지정돼있고 프라임존은 중앙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구성돼있다.


소협 측은 "예매현황을 보면 이코노미 좌석은 관람료가 1000원 인하됐지만 여전히 비선호하는 구역"이라고 말했다.


소협은 가격 차등화 실시로 영화관 측이 얻은 추가 수입은 점유 좌석당 430원이라고 분석했다.

영화값 차등제…사실상 '가격인상', 좌석당 430원꼴 올라 CGV 좌석별 가격차등화로 인한 가격인상 효과 분석(표=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조사기간 동안 이코노미존을 예약한 관객은 870명, 프라임존은 1만535명인 것을 토대로 계산한 결과, 두 구역의 관객수는 약 1만명 차이가 났다. 관람료 차등화에 따라 '1만 명×1000원=1000만 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 가능하며, 전체 관객 수로 나눠보면 점유 좌석당 약 430원의 가격인상 효과가 있다는 게 소협 측 설명이다.


소협 측은 "조사의 한계로 일부 상영관과 영화에 한해 모니터링이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면 프라임존 1000원 인상에 따른 연간 추가수익은 상당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 선택 확대를 빌미로 자리마다 가격을 나눠놓고 실질적으로는 가격인상 효과 및 수익 증대를 꾀한 것 아닌지 의구심이 제기된다"고 덧붙였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