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실질임금증가율, 3년만에 경제성장률 앞질렀지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실질임금증가율, 3년만에 경제성장률 앞질렀지만… 사진=아시아경제 DB
AD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낮은 물가상승률과 정부의 임금인상 유도정책에 힘입어 실질임금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3년 만에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임금인상이 크게 높아진 것이 아니라 성장률이 낮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이어서 '경제성장→임금상승→소비증대→생산증가'라는 경제 선순환 사이클을 복원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3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실질임금은 300만5000원으로 전년에 비해 2.7% 올랐다.

지난해 실질 경제성장률 2.6%보다 0.1%포인트 높은 것으로, 실질임금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높은 것은 2012년 이후 3년 만이다.


실질임금증가율과 경제성장률의 추이를 보면, 2011년에 각각 -2.9%와 3.7%를 기록한 데 이어 2012년에 3.1%와 2.3%, 2013년에 2.5%와 2.9%, 2014년에 1.3%와 3.3%를 보였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에서 물가상승 효과를 뺀 임금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낸 임금으로,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실질임금증가율이 높았던 것은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통계집계 이후 가장 낮은 0.7%에 그쳤고, 최저임금 인상률이 비교적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작년 최저임금 시급은 7.1% 올랐다. 전년의 7.2%에 비해서는 소폭 낮지만 5~6%대였던 예년보다는 높았다.


또 2014년 3.3%로 준수했던 경제성장률이 이듬해인 지난해 임금증가율로 이어졌으며, 작년 경제성장률이 당초 목표치였던 3%에 훨씬 못 미치는 2.6%에 그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5년 실질임금증가율과 경제성장률의 평균치를 보면, 실질임금증가율이 경제성장률에 뒤져 '임금인상 없는 성장'이 이어졌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평균 실질임금증가율은 1.34%로 같은 기간 평균 경제성장률 2.9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경제성장이 가계의 소득증가로 이어지지 못한 것이다. 가계 소득이 늘어나지 않으면 소득 주도 성장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경제 선순환의 연결고리조차 끊어지게 된다. 더욱이 집 마련과 전세금 인상에 따라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났고, 고령화에 대비해 저축을 늘리는 상황에서 가계의 지출은 더욱 축소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지난해 성장률 부진은 올해 임금인상률 하락으로 이어질 여지가 많다. '성장 부진→생산감소→기업수익성 악화→임금감소'라는 악순환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질임금증가율, 3년만에 경제성장률 앞질렀지만…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