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0년간 이어온 북한의 침투작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60년간 이어온 북한의 침투작전 북한군 열병식 중 등장한 [핵배낭] 부대의 모습.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의 군사적 도발유형은 군사적 습격, 무장간첩 침투, 요인암살, 잠수함 침투, 국제테러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지난 1960년에는 무장 게릴라 침투, 1970년대는 소규모 무장간첩 침투, 1980년대는 국제테러, 1990년대는 한반도 내부의 군사적 침투 및 도발 등으로 변해왔다.

대통령을 제거하려는 시도도 여러번 있었다. 북한은 68년 1월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해 124군 부대 소속의 무장공비 31명을 침투시켰다. 대통령을 암살할 목적으로 시도된 첫 번째 도발이다. 김신조 등 무장공비들은 국군 복장을 하고 미군이 경계를 관할하는 휴전선을 넘어 1월 21일 서울 세검정까지 침입했으나 경찰의 불심검문으로 발각됐다. 총격전이 벌어져 무장공비 가운데 28명을 사살하고 1명을 생포했다. 우리 측 전사는 34명. 생포된 후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박정희 모가지 따러 왔수다레"라고 말한 김신조는 현재 목사로 목회 활동을 하고 있다.


1974년 8월 15일, 8ㆍ15 광복절 경축행사에서 일본 조총련의 지령을 받은 재일교포 문세광이 박정희 대통령을 향해 권총을 쏘는 저격을 시도했다. 박 대통령은 무사했으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머리에 흉탄을 맞고 목숨을 잃고 말았다.

1983년 10월에는 전두환 대통령을 겨냥한 폭탄 테러가 자행됐다. 당시 서남아ㆍ대양주 6개국 공식 순방 중 첫 방문국인 미얀마(버마)를 방문한 전 대통령은 아웅산 국립묘지에 참배하기 위해 이동하는 중 강력한 폭발이 일어났다. 대통령이 도착하기 직전 폭탄이 터져 대통령은 화를 면했지만 서석준 부총리 등 수행원 17명이 숨지고 14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