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투자활성화]"ICT 활용 건강관리서비스업이 대세" 가이드라인 제정해 지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건강관리서비스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정키로 했다. 대학 해외진출을 장려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도 꾀한다.


정부가 17일 발표한 '투자활성화 대책'에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헬스케어산업 활성화·대학 해외진출 대책이 포함됐다.

우선 정부는 올해 3분기 중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의료기관의 진단·처방을 토대로 한 사후관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생활습관 관리, 맞춤형 영양·식단·운동프로그램 등으로 건강관리의 범위를 규정하기로 했다.


그동안 미국이나 일본에선 1990년대 중반 이후 건강관리서비스 시장이 꾸준히 발달해 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건강관리서비스의 정의나 비즈니스 모델이 명확지 않아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하지 못했다. 2010∼2011년에 두 차례 관련 법이 국회에 제출됐으나 건강관리서비스가 의료 행위냐, 아니냐를 두고 논란이 벌어져 법안이 폐기됐다.

차영환 기재부 성장전략정책관은 "무엇이 의료행위이고, 무엇이 건강관리서비스인지 가이드라인을 정하면 불확실성이 사라져 기업들이 새로운 사업 모델을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헬스케어 업체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 성장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 유지 조건은 완화된다. 코스닥 기업이 연간 매출액 요건 30억원을 충족하지 못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데, 기술 성장기업의 경우 관리종목 지정이 3년 유예된다.


그러나 바이오 의약품은 개발기간이 통상 5∼10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정부는 기술 성장기업의 관리종목 지정을 최대 5년까지 유예해주기로 했다. 의약품 품질 관리를 위해 시설투자를 할 때 해주는 세액공제 일몰 기간은 올해 말에서 2019년 말로 3년 연장을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는 외국 대학과의 교육과정 공동운영을 통해 국내대학 해외진출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선 국내 대학이 해외 현지대학과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학위 수여 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 지금은 공동 교육과정에 참여하더라도 국내 대학에서 졸업에 필요한 학점의 절반 이상을 따야 한다.


앞으로는 '국내 1년+해외 3년' 교육에 참여해도 국내 대학 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고등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된다. 대학 해외진출이 중국인 등 외국인의 국내유학 수요와 내국인의 해외유학 수요를 모두 흡수할 방안이기 때문에 적극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해외캠퍼스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된다. 현재 '대학설립·운영규정'에는 대학의 캠퍼스를 '국내'로만 인정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8월 중 캠퍼스 위치변경 인가 범위를 '국내'에서 '국내 또는 국외'로 확대하기로 했다.




세종=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