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해 기업 구조조정 규모 20조…금융위기 이후 최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올해 가장 큰 규모의 기업 구조조정이 이뤄지게 됐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이 11~12월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중 368개사를 대상으로 한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 C등급(워크아웃 대상) 11개사와 D등급(법정관리 대상) 8개사 등 19개사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들 업체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2조5000억원이며 금융권이 추가 적립해야할 충당금은 1조50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은 상승하지만 BIS비율(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은 13.99%에서 13.89%로 내려가는 정도라서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수시 평가는 지난 7월 발표한 정기 평가에서 B등급을 받은 기업들과 은행들의 ‘워치리스트’(집중 감시 대상) 등 368개 기업을 대상으로 재차 실시한 것이다. 두 차례의 평가를 합하면 올해 구조조정 기업은 54개이며 신용공여액은 19조6000억원에 이른다. 이전 최대 규모였던 2010년 신용공여액 16조7000억보다 3조원가량 많은 것이다.

양현근 금감원 부원장보는 “신용공여액이 상대적으로 많은 조선업체가 구조조정 대상에 들어간 영향”이라고 말했다.


수시 평가에서 선정된 구조조정 대상 기업들을 업종별로 보면 철강이 3개로 가장 많고 조선·기계제조·음식료 각 2개, 건설·전자·석유화학·자동차·골프장 등이 1개씩 포함됐다. 이미 워크아웃을 개시한 동아원을 비롯해 3개의 상장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이 중 1개는 D등급을 받았다.


올해 전체적으로 보면 건설 업종 기업이 14개로 가장 많고 철강(11개), 전자(8개), 조선(4개)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채권 은행들은 수시 평가와 별도로 재벌 등으로 이뤄진 40여개 주채무계열 소속 기업에 대한 재무 점검도 실시했으나 구조조정 대상은 선정하지 않았다. 다만 위기 상황 때 취약요인이 있는 11개 기업을 뽑아 주채권은행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워크아웃 제도를 뒷받침하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 개정안이 국회에 막혀 31일 실효되지만 수시 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11개사 중 절반가량은 이미 워크아웃 절차를 밟고 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채권단의 100% 동의를 받아야 워크아웃이 가능하므로 일부 기업들의 경우 워크아웃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금감원은 보다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하기 위해 신용위험평가 대상에 완전자본잠식(적자 누적으로 자본이 바닥나는 상태) 기업을 추가키로 했다. 지금까지는 최근 3년 연속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거나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수치)이 1.0 미만인 기업을 대상으로 해왔다.


또 구조조정 추진시 평가손실이 해당 은행 영업점 성과 평가에 반영돼 옥석가리기를 저해한다는 지적에 따라 영업점 평가상 불이익을 경감하고 전임 영업점장의 고의적인 구조조정 지연이 확인될 경우 평가에서 불이익을 부과하는 등 내용의 성과평가기준(KPI) 개선 방안을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미국 금리 인상과 중국 경제 성장 둔화 등 대외적 불확실성 증대와 함께 일부 산업의 과잉 생산 설비, 과당 경쟁 등 구조적 취약성이 나타나면서 국내 경제 활력이 낮아지고 기업들의 성장성, 수익성, 재무안정성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