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가족정책 5개년' 위해 국민과 현장 목소리 들으러 나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 정부가 향후 5년간 정부 가족정책의 틀을 세우기 위해 국민들의 의견 수렴에 나선다.


여성가족부는 '제3차 건강가정기본계획(안)'에 대한 각계 의견을 듣기 위해 29일 오후 2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날 공청회에는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현장 관계자와 가족정책 관련 전문가, 관계부처 및 지자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제3차 기본계획(안)의 주요 과제에 대해 토론한다.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될 제3차 기본계획(안)은 '모든 가족이 함께 행복한 사회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다양한 가족이 차별 없이 생활할 수 있는 사회'와 '남녀 모두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사회'를 목표로 6대 정책과제와 20개 단위과제, 53개 세부과제를 담고 있다.


6대 정책과제는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서비스 기반 조성 ▲가족유형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 강화 ▲정부-가족-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돌봄 지원 강화 ▲남성과 여성, 기업이 함께하는 일·가정 양립 실천 ▲생애주기별 출산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가족환경 변화에 대응한 정책 추진체계 강화 등이다.

여성가족부는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제정 이후, 그동안 제1·2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을 수립해 가족가치 확산과 한부모·다문화가족 등 다양한 가족 지원에 중점을 둔 종합대책을 추진해 왔다. 올해 제2차 기본계획(2011~2015)이 종료됨에 따라 지난 4월부터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함께 전문가 및 관계기관 등이 참여하는 워크숍과 자문회의 등을 통해 제3차 기본계획(2016~2020)(안)을 마련했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관계부처와 협의해 내년 1~2월 중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윤효식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관은 "지난 제1~2차 기본계획이 정책 추진체계 및 기반 구축 등을 통해 가족정책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면, 이번 제3차 기본계획은 기존정책을 내실화하고, 국민들이 정책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