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전력 증강하는 중국, 미국과 충돌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25초

중국판 이지스함 052형 3번함 남중국해 배치…모두 3척으로 늘어

남중국해 영유권을 놓고 미국과 중국간의 신경전이 날카롭다. 중국이 남중국해에 인공섬을 건설해 영유권을 주장하자 미국은 B-52를 보내 '항행의 자유(FONOP)'권을 과시했다. 중국은 중국판 이지스함인 052D형 3번함을 남중국해에 배치, 3척으로 늘리는 등 전력증강으로 대응하고 있다. 두 초강대국의 신경전은 일촉즉발의 형국이다. 사소한 충돌이 전면 무력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신경전으로 거둘 이익에 비해 충돌이 줄 손실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엄청나다.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전력 증강하는 중국, 미국과 충돌할까 지난 12일 취역헤 남중국해를 관할하는 남해함대에 배치된 중국 최신 이지스함 허페이함
AD


◆중국판 이지스함 3번함 남중국해 배치=중국군은 최근 건조된 052D형 이지스함을 남해함대에 배치했다. 이에 따라 남중국해를 관할하는 최신형 이지스함은 세 척으로 증강됐다.


외교안보 전문 매체 '더디플로맷' 등에 따르면, 중국해군은 12일 남부 하이난(海南)성 싼야(三亞)시 군항에서 우성리(吳勝利) 해군사령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052D형 구축함 허페이함 의 취역식을 가졌다.

이로써 남중국해를 관할하는 중국의 최신형 이지스함은 모두 세 척으로 늘어났다. 052D형 구축함 1번함 쿤밍함은 지난해 3월 취역해 남해함대에 배치됐고, 8월 취역한 2번함은 창사함도 남해함대에 배치됐다.


'차이나밀리터리온라인'에 따르면, 왕덩핑(王登平) 해군 부정치위원은 연설에서 "허페이함은 중국이 스스로 설계하고 건조해 배치한 최신의 미사일 구축함"이라면서 "허페이함은 인민해방군해군의 체계적인 전투능력을 높이고 남중국해 권익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3척의 최신 함정은 세계적인 유도미사일 구축함"이라고 평가하고 "중국의 해전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미 해군정보국(ONI)도 "052D형은 첨단 대공 및 장거리 타격능력을 갖춘 유연한 전력을 향한 중국군의 추세를 구현한다"면서 "B형과 C형을 포함해 052 형은 전체가 여러 가지 면에서 현대적이며 서방의 최신 함정에 필적할 만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 같은 평가는 나름 근거가 있다. 허페이함은 만재 배수량이 7000t 가량으로 상당히 큰 함정이다. 여기에 64발의 대함·대공·대잠수함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으며, 미국 해군 함정에 배치된 것보다 훨씬 우수한 위상배열레이더를 탑재해 표적 탐지능력과 대공방어능력이 강화됐다.


ONI는 '21세기 중국인민해방군의 새로운 능력과 임무'라는 보고서에서 052D 구축함들이 사거리 약 148km의 HQ-9 함대공 미사일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함정의 표준 함대공 미사일의 사거리는 보통 100km 정도로 알려져 있다. 장거리 방어능력을 갖춘 셈이다.


또한 YJ-18 대함 순항미사일 수직발사 능력도 갖춘 것으로 평가했다. 이는 함정의 항해 방향과 상관없이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미사일은 사거리가 220~540 km로 길다. 순항속도는 마하 0.8이지만 표적 가까이에 가서는 마하 2.5~3으로 빨라져 요격하기가 쉽지 않다. 탄두 무게는 140~300kg 정도다. 베이더우 위성항법시스템이 내장됐다는 주장도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미 해군 항모와 수상함정에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전력 증강하는 중국, 미국과 충돌할까 중국의 052D형 최신 이지스함 1번함 쿤밍함



중국군의 전력은 앞으로 더 증강될 전망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052D함을 총 12척 건조할 계획인데 현재 7척이 건조를 완료했다. 이들 함정이 남중국해와 동중국해를 누빈다면 미 해군과 미국의 동맹국 해군들은 활동에 상당한 제약을 받을 전망이다. 지금도 남해함대는 공격핵잠수함 2척, 탄도미사일 핵잠수함 4척, 재래식 디젤잠수함 16척, 구축함9척, 프리기트함 20척, 상륙함 25척 등 막강한 전력을 갖추고 있다. 052D 형이 속속 배치될 경우 대공방어능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게 분명하다.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전력 증강하는 중국, 미국과 충돌할까 최신 장거리 순항미사일 재즘-ER이 탑재될 B-52



◆미국 B-52 비행,군사도발인가=중국이 2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최신형 구축함 세 척을 남해 함대에 배치한 것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에서 주변국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미국의 공세에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과시한 것으로도 분석된다.


미국은 B-52 전략폭격기과 함정을 중국이 건설한 남중국해 인공섬 인근을 비행하거나 항행하도록 하면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을 무시하고 있다.


동시에 미국은 최근 18억3000억달러(한화 약 2조원) 규모의 무기를 대만에 수출하기로 결정하는 등 대만의 자체 방어력도 강화하고 있다.


중국 국방부 신문사무국에 따르면, 미군 B-52 폭격기 2대는 지난 10일 새벽 중국이 남중국해 난사군도(스프래틀리군도)에 조성한 인공섬 화양자오(華陽礁·Cuarteron Reef)상공에 진입했다. 중국군은 고도의 경계태새를 취하고 경고를 보내 미군 폭격기를 쫓아냈다고 중국 측은 주장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18일 미 국방부를 인용, 일상의 임무를 수행하던 B-52 폭격기 2대 중 1대가 의도치 않게 스프래틀리군도의 산호초에 가까이 접근해 2해리 이내에서 비행했다고 보도했다. 미군 관계자는 이 폭격기가 왜 예정된 경로보다 더 가까이 중국 인공섬에 접근했는지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 해군 이지스구축함 라센함은 지난 10월 항행의 자유(FONOP)를 내세워 중국 인공섬 주변 12해리 이내를 통과했다. 지난달에는 B-52가 남중국해 인공섬 주변 상공을 비행했다. 5월에는 최첨단 초계기 P-8A가 난사군도를 초계비행했다.


중국은 미국이 고의로 도발했다고 비난했다. 중국 국방부는 "미국이 계속적으로 군함과 전투기를 보내 무력을 과시하면서 긴장을 조성하며 남중국해의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성명에서 "어떤 국가도 항해와 비행의 자유를 내세워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미 국방부는 이번 B-52 비행이 계획된 것이 아니라고 맞섰다. 중국 영토에서 12마일 이내로 비행할 의도가 전혀 없었다는 것이다.


미국의 이런 반응은 중국의 남중국해의 영유권 주장은 과하다고 주장해온 미국의 기존 입장과는 사뭇 다르다. 화양자오는 중국이 인공섬을 건설하기 이전에 바위(rock)라는 지위를 갖고 있어 중국령이 될 자격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다른 환초들은 중국이 매립해 인공섬을 건설하기 전에는 인공섬들은 간조 때 드러나는 지형지물로 미국이 FONOP를 주장할 적절한 대상이라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은 앞으로도 이와 유사한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일 게 분명하다.미국은 최신 연안전투함을 아시아에 증파하고 있고 중국도 최신 함정을 증강하고 있어 군사력 긴장도 높아질 것이다. 남중국해는 점점 화약고로 변해가고 있다.






박희준 논설위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