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정부가 내년 한 해 동안 스마트가전, 디스플레이, 바이오식품 등 지역별 주력산업을 육성하는데 총 6195억원을 투입한다. 시·도별 핵심중추사업에 대해 연구개발(R&D)부터 마케팅까지 '패키지'로 지원하고, 주요 산업별로 2개 시·도가 협력하는 '17개 경제협력권 프로젝트'도 가동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제2차 지역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2016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4개 시·도에서 시행될 세부사업에 국비 4693억원, 지방비 1502억원 등 총 6195억원이 투입된다. 지자체별로 중복되지 않도록 종합적인 지역산업육성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동시, 지역별로 선택과 집중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역산업 현안을 진단해 지역별로 2~3개 산업을 집중 지원,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다.
먼저 수도권을 제외한 각 시·도는 단위별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중추산업을 최대 5개씩 확정했다. 대전은 무선통신융합, 로봇자동화, 금속가공, 메디바이오, 지식재산서비스, 경북은 디지털기기부품, 모바일융합, 에너지소재부품, 성형가공, 기능성바이오소재, 제주는 물응용, 관광디지털콘텐츠, 청정헬스푸드, 풍력?전기차서비스 등이다.
정부는 핵심중추산업에 대해 총 1942억원을 투입, R&D는 물론 사업화, 디자인, 마케팅 등 비R&D 분야까지 패키지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시도별 특화발전프로젝트(650억원)과도 연계한다. 중앙정부는 시도별 계획과 실적을 평가해 중복되는 내용을 조정하고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역기업이나 주민 주도로 지역내 특성을 반영해 창출한 산업품목에 대해 3년간 각 6억원 안팎을 지원하는 '풀뿌리기업육성사업'도 실시한다. 내년 한해 전체 예산은 341억원이 책정됐다.
아울러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한 경제적 효과를 지역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에도 120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14개 시·도간 자율적인 협의를 통해 17개 경제협력권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조선해양플랜트, 화장품뷰티, 의료기기, 이차전지 등 주요산업에 대해 2개 시·도가 주관지역, 협력지역으로 경제협력권을 구축하고, 해당지역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지방비 매칭을 의무화해 시·도의 책임운영체계도 구축한다. 내년 지원예산은 R&D분야 1434억원을 포함해 총 1891억원이다.
정부는 진흥계획과 별도로 지역별 사업추진 실적 및 성과, 산업 성장추이 분석, 성공사례 등을 포함하는 2014년 성과보고서를 작성했다. 2016년 지역산업진흥계획과 성과보고서는 다음달 국민들에게 공개된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2016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통해, 지역 맞춤형 특화발전 기반과 산업육성전략이 마련돼, 지역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지역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하게 됐다”며 “지역사업 개선 노력들이 최근 발표된 지역전략산업과 함께 지역별 미래 먹거리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