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산 탄생 100주년]소 1001마리 몰고 '통일牛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2초

⑤20세기 최고의 분단國 전위예술 소떼방북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20세기 최후의 전위예술.'


세계적인 미래학자이자 문명비평가인 기소르망은 1998년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소떼 방북을 이렇게 표현했다. 당시 북한이 소떼가 판문점을 지나는 걸 반대한 탓에 한때 배로 보내는 방법까지 검토되기도 했다. 하지만 정 명예회장의 고집을 꺾을 수는 없었다. 당시 이 장면은 미국의 뉴스 전문 채널인 CNN에 생중계됐으며 외신들도 분단국가인 남북한의 휴전선이 개방됐다고 보도했다. 이리하여 1998년 6월과 10월, 정 회장은 두 차례에 걸쳐 각각 500마리, 501마리의 소를 이끌고 민간인 최초로 판문점을 통해 북한에 들어갔다. 첫 방북날 오전 임진각에서 정 회장은 "이번 방문이 남북간 화해와 평화를 이루는 초석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소회를 전했다.

[아산 탄생 100주년]소 1001마리 몰고 '통일牛步'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1998년 6월 16일 일부 수행원과 함께 소 500마리를 이끌고 북한으로 이동했다.
AD

◆"1마리의 소가 1000마리가 되기까지"= 정 명예회장은 실향민 출신으로 세계적인 기업을 이룬 경영자로도 유명하다. 이는 정명예 회장이 소떼 1001마리를 이끌고 북한을 방문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정 명예회장은 17세때 현재 북한 지역인 강원도 통천군 아산리의 고향집에서 부친이 소를 판돈 70원을 훔쳐 집을 나왔다. 정 명예회장이 소떼 방북을 기획한 것은 1992년부터다. 그는 자신의 서산농장에 소 150마리를 사준 뒤 방목을 지시했다고 한다. 소떼 방북당시 충남 서산시 부석면 창리 간척지에 조성된 현대서산농장 70만평의 초원에는 이미 3000여마리의 소들이 방목되고 있었다.

정 명예회장은 총 두 번에 걸쳐 소 1001마리를 북한으로 이끌었다. 1000마리에 1마리를 더 추가한 것은 향후 지속적인 후원을 이어가겠다는 약속의 의미였다. 더욱이 정 명예회장의 지시로 암소 중 100여마리는 새끼를 밴 상태였다.


1차분은 1998년 6월 16일 넘어갔다. 적십자사 마크를 단 흰색 트럭 수 십대에 실린 소들이 오전 9시 22분 판문점 북측지역을 먼저 넘었고 정 명예 회장은 판문점 중립국 감독위원회 회의실을 지나 도보로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4개월 후 2차로 501마리의 소떼를 몰고 2차 방북이 이뤄졌다. 현대그룹은 소떼 방북을 위해 트럭과 사료를 포함해 41억7700만원의 비용을 부담했다.


2차 방북 시에는 김정일 위원장이 정 명예회장 숙소인 백화원초대소를 찾아 '깜짝 면담'이 이뤄지기도 했다. 밤 10시 25분쯤 정 명예회장이 묵고 있는 평양 백화원초대소에 나타난 김 위원장은 지방에서 올라오는 길이라며 "명예회장 선생께서 연로하시고 거동이 불편하셔서 직접 왔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어 김 위원장이 김용순 아태위원장에게 9월 25일로 잡았던 금강산 관광이 기대보다 늦어진다고 말하자 김 아태위원장은 곧 실현될 것 같다고 대답했다. 금강산관광 외에도 북한 연안에 대한 남북 공동석유시추작업 등 경협사업이 논의됐고 면담은 45분간 진행됐다.

[아산 탄생 100주년]소 1001마리 몰고 '통일牛步'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1998년 6월 16일 일부 수행원과 함께 소 500마리를 이끌고 북한으로 이동했다.


◆10년의 기다림… 남북협력 개척자= 정 회장은 기업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남북협력 시대를 개척한 '민간 통일운동가'로도 평가된다. 금강산 관광개발사업 등 남북경협사업을 통해 분단 반세기 동안 축적된 남북의 대립과 긴장을 일시에 무너뜨리고 화해와 협력의 새 시대를 열어서다.


사실 정 명예회장이 한국 기업인으로서 북한을 처음 방문한 것은 이보다 앞선 1989년 1월이다. 당시 미 수교국인 구 소련을 방문해 미개척지인 대공산권 진출을 모색한 바로 직후였다.


북한 노동당 서열 4위인 허담의 초청으로 방북길에 나섰던 정 명예회장은 북한 당국과 금강산 공동 개발에 대한 의정서를 체결하는 한편 다양한 남북경협사업을 협의하는 성과를 거둬 국내외의 비상한 관심을 받았다. 특히 금강산 공동 개발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육로를 통한 인원 및 물자 수송을 주장해 이를 관철시키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후 고조된 남북의 정치적 갈등으로 남북경협사업은 주춤할 수밖에 없었고 기다린 세월이 소떼 방북이 이뤄진 1998년까지의 9년이다.


정 명예회장의 소떼 방북 후 1998년 11월 18일, 50여년간 끊어졌던 남북의 뱃길이 다시 열렸다. 금강산 관광사업은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를 극복하고 공동의 번영을 위해 협력하자는 남북경협사업의 첫 결실인 만큼 높은 관심 속에 그 첫 운항을 시작했다.


동해항을 출발한 금강산 관광선 '현대금강호'는 12시간에 걸친 남북의 뱃길을 걸쳐 북한의 장전항에 도착했다. 정 명예회장은 장전항에 도착한 첫 손님으로서 많은 관광객들은 박수를 받으며 역사적인 첫 발을 내딛었다.


정 명예회장은 2000년 6월 28일에 있었던 마지막 방북까지 판문점을 통해, 때로는 금강산 관광선을 타고 북한을 방문해 서해안 공단 개발 사업 등 다양한 남북경협사업을 추진했다. 아울러 통일농구대회를 비롯한 남북의 스포츠 교류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남북한 남녀 농구팀이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경기를 치르게 하는 등 교류폭을 계속 확대시켰다.


아산재단 관계자는 "정 명예회장의 소떼 방북 후 남북은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교류와 협력의 폭을 넓혀 왔다"며 "기업가이자 남북협력 개척자로서 아산이 보여준 변화의 바람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평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