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기 맞아 임흥순 작가 등 서울시민청갤러리서 '포스트트라우마'展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평화가 곧 밥이다."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 고(故) 김근태 의원(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생전에 줄곧 했던 이야기다. 그는 한반도의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분단체계가 평화체계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지난 2011년 12월 30일. 그는 우리 곁을 떠났다. 4주기를 추모하는 행사가 잇달아 열린다. '포스트 트라우마전(展)'이 그 시작이다. 추모전시로서 서울시청 시민청갤러리에서 지난 18일 개막했다. 김근태 추모전은 지난해 이맘때쯤 '노동'을 주제로 해 처음 열렸고, 이번이 두 번째다. 김근태를 추모하는 문화예술인의 자발적 모임인 '근태생각'이 주도했다. 참여 작가들과 기획자, 고인의 정치적 동지이자 아내인 인재근 의원(62)을 만났다.
기획자 박계리(42) 씨는 "올해가 광복 70주년이기도 하고, 관련한 문화행사들이 우후죽순으로 열리고 있지만 담론 자체는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듯하다. 김 의원이 살아계셨더라면 분단문제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했을지 생각해보았다"며 "젊고 실험적인 작품을 하는 작가들과 함께 전시를 꾸렸다. 김 의원과 교분이 있던 민중미술가도 많지만, 젊은 세대가 참여하면서 미술로써 김근태의 삶과 정신을 소통하고자 했다"고 했다.
김 의원의 몸은 자신의 세대가 입은 폭력의 상처를 다음 세대로 전이하지 않으려는 의지와 평화의 상징이다. 대학시절부터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등 운동권을 주축으로 활동하면서, 전두환 정권 시절 수차례 고문을 받은 그는 고문의 실상을 알려 독재정권의 도덕성에 타격을 줬다. 이후 제도 정치권으로 입문해서는 민주주의와 경제를 제대로 작동시키기 위해 '남북한 평화'가 해결돼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이번 추모전에는 김월식(46), 김진주(35), 김황(35), 노순택(44), 이부록(44), 임흥순(46), 전승일(50), 조습(40) 등 작가 여덟 명이 참여했다. 한국인 최초로 베니스비엔날레 미술전에서 은사자상을 수상한 임흥순 씨는 탈북가수 김복주(37) 씨와 북한산을 오르며 북한에서 보낸 평범한 일상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영상을 찍었다. 김월식 씨는 김 의원이 집에서 쓰던 나무의자를 분쇄해 평화를 위한 촛불에 불을 붙이는 성냥으로 제작한 작품으로 내놨다. 학생운동을 하면서 트라우마 후유장애를 겪었던 전승일 씨는 기억과 상처, 치유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을 선보였다. 또한 작가들은 민청련 운동가들의 2세들과 협업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운동의 의미를 되새기는 작품을 전시하기도 했다.
인 의원은 "추모전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었을 텐데 작가들에게 감사드린다. 김 의원은 생전에 전시된 미술 작품 보기를 즐겼다. 몽환적이면서도 따뜻한 색채가 가득한 마르크 샤갈 전을 함께 봤던 기억이 난다"며 "그가 계속 몸이 불편하다가 아예 몸져누웠을 때가 10월 중순께였다. 그래서 요즘 마음이 아프다. 기일에 열리는 콘서트까지 추모행사가 이어지는데, 오늘이 그 시작"이라고 했다. 전시는 12월 6일까지. 02-784-8093.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