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창신·숭인과 창동·상계, 세운상가 등 13곳의 노후 지역이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돼 최대 500억원의 공공 지원을 받게 됐다. 전면 철거하는 방식의 재개발이 아니라 정비와 보존, 지역 특성에 맞는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이다.
서울시는 서울시 최초의 도시재생 법정계획인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이 지난 18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19일 밝혔다. 2013년에 제정된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서울의 여건을 반영해 수립한 것이다.
서울시는 지난 3월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통해 27곳의 중점 추진구역을 정했는데 이 중에서 재생이 시급하고 주민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돼 있지만 자생적인 변화 가능성이 낮은 13곳을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정한 것이다.
창신·숭인의 경우 서울에서는 유일하게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뽑힌 곳이다. 서울역과 창동·상계, 가리봉, 해방촌, 세운상가, 낙원상가, 장안평 등 7곳은 서울시 선도지역이며, 장위1동,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동, 상도4동 등 5곳은 주민(자치구) 공모사업지다.
법적 쇠퇴 기준인 최근 30년간 최대 인구 대비 20% 이상 감소·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 인구 감소, 최근 10년간 총 최대 사업체 수 대비 5%이상 감소·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 산업체 수 감소, 준공 후 2년 이상 지난 건축물이 50% 이상 등을 충족하는 지역들이다.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4~5년에 걸쳐 지역역량 강화, 핵심 시설 확충 등 마중물 사업을 위해 100억~500억원의 공공 지원이 이뤄진다. 재생활성화 계획의 실행이 준비된 곳부터 우선 지원하며, 각 단계별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차등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 밖에도 도시재생 지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시민역량 강화 4단계 프로세스(준비-계획-실행-자력재생)를 도입해 내년부터 준비 단계로 재생 필요성 공론화를 위한 유형별 시민역량 강화 사업을 진행한다.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은 향후 10년간 서울형 도시재생의 기본방향이 되며 필요한 경우 5년마다 재정비된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는 신경제 광역 중심으로 육성하고, 쇠퇴 낙후한 산업지역은 기존 생태계를 유지하며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은 지역자원을 활용해 관광명소화하고, 노후 주거지는 지역 맞춤형으로 정비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주민이 중심이 되고 지역이 가진 정체성을 살리는 서울형 도시재생의 법적근거가 마련됐다”며 “각 지역이 명소화 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돼 공동체가 살아나는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